2020년 올 한해에도 아낌없는 지지로 시민건강연구소와 함께 해주신 회원 여러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연말정산을 위한 “기부금영수증 발급” 에 대한 안내드립니다. 2020년도 기부금 영수증은 “국세청 연말정산간소화 서비스“를 통해 진행됩니다. 발급기준: 2020년[…]
소식
<2020년 시민건강연구소 랜선송년회 & 북토크>에 회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12월의 첫 날입니다. 해마다 감회가 다르지만 올 해는 특별한 시간을 지나고 있는듯 합니다. 여러분은 지금 무슨 생각을 하고 계신가요? 연구소에서는 반갑게 악수를 나누며 안부를 묻는 익숙하고 소박한 송년회 대신 올[…]
추천 글
[공지] 연구소 누리집을 통한 신규 회원가입 오류 관련
최근 며칠 간, 연구소 누리집 회원가입 시스템에 오류가 있었습니다. 누리집을 통해 회원가입을 하셨는데 가입완료 메일을 받지 못하셨다면, 시스템 오류로 처리가 되지 않은 것이므로, 연구소 이메일(people@health.re.kr)로 꼭 연락주시길 부탁드립니다. 불편을 끼쳐드려[…]
추천 글
[팜뉴스] “미프진 도입은 세계적 추세입니다”
국정감사 이후 여성계에서는 갑작스레 약물 하나가 화두에 올랐다. 약의 이름은 ‘미프진’(성분명 미페프리스톤), 일명 낙태약으로 불리는 임신중단 약물이다. 임신중단에 대한 처벌이 헌법 불합치 판정을 받은 뒤 약물에 의한 임신중단을 허용하는 모자보건법[…]
추천 글
2021년 시민건강연구소 달력 주문받습니다
우리 연구소에서 만드는 네번째 달력입니다. 그동안 연구소 달력을 받아보셨다면 ‘세상 어디에도 없는 달력’이라는 연구원들의 자랑을 이해하시겠지만(!), 2021년 달력은 또 다른 멋과 스타일이 있습니다. 서리풀논평과 연구소의 보고서에 삽화를 그려주고 있는 감자작가가[…]
추천 글
[경향신문] 코로나 유행 10개월 백서···‘코로나 전사’는 있고 ‘병원 노동자’는 없었다
보건의료 시민단체인 시민건강연구소와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가 다양한 직군의 보건의료 노동자 24명을 심층 인터뷰한 <보건의료노동자, K-방역을 말하다: 더 나은 팬데믹 대응을 위한 제안>을 10일 발간한다. 시민건강연구소는 이들의 생생한 증언을 토대로 보건의료[…]
추천 글
[연구보고서 2020-11] 보건의료노동자, K-방역을 말하다: 더 나은 팬데믹 대응을 위한 제안
코로나19 유행이 시작된 지 1년이 되어가는 현재, 많은 사람이 유행의 장기화를 예상하고 있다. 팬데믹에서 모두의 안전을 지키기 위한 방역대응의 지속가능성과 보건의료체계의 회복탄력성 측면에서 보건의료 노동자의 건강과 안전은 매우 중요한[…]
추천 글
[PHI연구보고서 2020-10] 인권중심 코로나19 시민백서: 코로나19시대 시민의 삶, 우리의 권리
시민건강연구소가 지난 3월부터 진행했던 [인권중심 코로나19 시민백서:코로나19시대 시민의 삶, 우리의 권리]가 완성되었습니다. 이 보고서는 2015년 메르스 유행에 대한 우리의 평가작업(<인권중심의 위기대응: 시민, 2015 메르스 유행을 말하다>)의 연장선 위에 있습니다. 문제의식과[…]
추천 글
[한겨레]토요판 특집: 사람과 인권의 눈으로 본 코로나19
시민건강연구소가 <인권 중심 코로나19 시민백서>를 20일 발표한다. 사람과 인권을 중심에 둔 ‘시민백서’는 국가·행정·전문가와는 다른 시선으로 코로나19를 본다. 확진자 통계와 감염 경로 관리에 대한 평가 대신 평소 눈에 보이지 않다가[…]
추천 글
후원회원님! 연락처 (이메일주소/핸드폰번호/주소) Update 부탁드려요!
후원회원님! 이메일주소, 집주소, 핸드폰번호가 변경되셨다면 업데이트 부탁드려요. 연구소 창립을 기념하는 작은 선물을 준비했습니다. 또 2021년 달력도 발송할 예정이고요. 누락되시는 회원님들이 없도록 가입당시의 연락처와 주소가 변경되셨으면 꼭 알려주세요. 업데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