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건강연구소에서는 회원들과 연구원들이 공동으로 작업하여 코로나19가 한창이던 2021년 10월에 [PHI연구보고서 2021-10] 코로나19 백신접종과 시민의 권리 를 발간한 바 있습니다. 보고서에서는 코로나19 백신정책을 둘러싼 정치경제와 공공보건의료, 백신접종의 정의와 윤리, 시민참여 등[…]
자료실
[PHI연구보고서 2025-3] 전공의 집단 이탈로 드러난 병원 생산시스템의 문제점 규명 연구
지난해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의 의뢰로 진행한 <전공의 집단 이탈로 드러난 병원 생산시스템의 문제점 규명 연구> 연구보고서를 공개합니다(연구기간 2024.10-2025.3). 이 연구는 전공의 집단 이탈 사태에 대응하는 병원의 노동 재조정 방식과 그것이 노동자와[…]
추천 글
[연구보고서] 2024 시민건강실록 발간 & 회원 정보 업데이트 및 회비 증액-회원 확대 운동
<2024 시민건강실록>을 발간합니다 2025년 4월 4일 마침내 우리는 윤석열 대통령을 파면했습니다. 2024년 12월 3일 밤 이후로 많은 사람이 추운 거리에 나와 민주주의를 외쳤습니다. 명백히 위헌적인 내란을 전 국민이 생생하게 지켜보았음에도[…]
추천 글
[연구보고서] 2024년 돌봄의료원스톱센터 및 혁신형 공공병원 모델 개발 정책연구용역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책임연구원 이건세교수)이 주관하고 시민건강연구소가 참여했던 <2024년 돌봄의료 원스톱센터 및 혁신형 공공병원 모델 개발 정책연구>(2024.5~2024.11) 최종보고서가 2024년 12월에 공개되었습니다. 시민건강연구소(참여 연구원: 김성이, 김정욱, 권시정)는 전체 보고서 중에서 “제3부. 혁신형 공공병원[…]
추천 글
<함께 만들어가는 우리동네 좋은공공병원을 위한 열가지 질문과 열가지 해답> 발간
지난 5월 25일 좋은공공병원만들기운동본부 출범과 함께 “함께 만들어가는 우리동네 좋은 공공병원을 위한 열가지 질문과 열가지 해답”이라는 소책자가 발간되었습니다.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열 가지 질문과 열가지 해답을 담고 있습니다. 건강과 보건의료에[…]
추천 글
한-일 민중건강운동(PHM Korea-Japan) 교류보고서
지난 2월 13일부터 17일까지 닷새 동안 일본 민중건강운동(People’s Health Movement Japan) 활동가들이 한국 시민사회운동의 경험을 배우고 동아시아 지역에서의 시민사회연대를 촉진하는 방안을 찾기 위하여 우리 시민건강연구소를 비롯한 한국 민중건강운동(PHM Korea) 소속[…]
추천 글
<일하는 누구나 아프면 쉴 권리> 소책자 보내드립니다 (마감)
우리 연구소는 <아프면 쉴 권리 공동행동(전 건강.노동.사회 시민포럼)>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아프면 쉴 권리 공동행동>는 2024년 첫 활동으로 상병수당 제도에 대한 소책자를 제작하였습니다. 2024년 2월 현재, 상병수당은 2단계 시범사업을 시행 중에[…]
추천 글
[연구보고서] 2023 시민건강실록
<2023 시민건강실록>을 발간합니다 시민건강연구소는 2015년부터 매년 <시민건강실록>을 통해 지난 1년간 발생했던 주요 사건과 이슈를 돌아보고 새해를 전망해 오고 있습니다. 2023년에도 여느 해와 마찬가지로 참 다사다난한 해였습니다. 국내외적으로 여러 분야에서[…]
추천 글
[PHI연구보고서 2023-12] 왜 민영화에 반대해야 하는가? : 민영화의 부정적 효과 리뷰 연구
시민건강연구소가 2023년 공동 연구과제로 진행한 <왜 민영화에 반대해야 하는가? : 민영화의 부정적 효과 리뷰> 연구보고서를 공개합니다. 다들 잘 아시겠지만, 지난해 출범한 윤석열 정부는 여러 분야에서 간접적이고 우회적인 형태로 민영화[…]
추천 글
[PHI연구보고서 2023-8] 포스트 코로나 시대, 사람 중심의 공중보건체계 연구
전 세계 사람들의 일상을 뒤흔들었던 코로나19가 마침내 서서히 물러가고 있습니다. 지난 5월 세계보건기구는 3년 4개월 만에 코로나19 공중보건위기사태 선포를 해제하였습니다. 한국 정부도 지난 3월 발표한 ‘위기단계 조정 로드맵’에 따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