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사람들의 일상을 뒤흔들었던 코로나19가 마침내 서서히 물러가고 있습니다. 지난 5월 세계보건기구는 3년 4개월 만에 코로나19 공중보건위기사태 선포를 해제하였습니다. 한국 정부도 지난 3월 발표한 ‘위기단계 조정 로드맵’에 따라[…]
자료실
노숙인 진료시설 지정제, 왜 폐지되어야 하는가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사회경제적 약자들은 더 큰 피해와 희생을 감수해야 했습니다. 특히 팬데믹 초기부터 공공병원이 감염병 전담병원으로 전환됨에 따라 평소 공공병원에 대한 의존도가 높았던 이들의 경우 의료접근성이 크게[…]
추천 글
[연구보고서] 모두의 건강을 위한 젠더레짐
시민건강연구소 젠더건강연구센터는 2022년 9월부터 2023년 1월까지 5개월에 걸쳐 회원들과 함께 ‘젠더레짐’을 공부했습니다. 건강에 대한 기존 지식들을 젠더 관점에서 재탐색하기 위한 지적 도구를 쌓기 위한 공동 학습의 과정에서 우리는 건강의 여러[…]
추천 글
[연구보고서] 2022 시민건강실록
<2022 시민건강실록>을 발간합니다 시민건강연구소의 여덟 번째 <시민건강실록>을 발간합니다. 2015년부터 올해까지, 우리는 매년 지나간 한 해를 되돌아보고 다가온 한 해를 전망합니다. 2022년과 2023년은 유독 평가도 전망도 어려웠던 것이 우리만은 아니겠지요?[…]
추천 글
성·재생산 건강 연속기획 II – “입법공백”이라는 핑계는 이제 그만
시민건강연구소는 회원과 함께 “성·재생산 건강 연속기획 I – 임신중지를 의료로서 보장하기” 에 이어 “성·재생산 건강 연속기획 II – “입법공백”이라는 핑계는 이제 그만” 제목의 이슈페이퍼를 발간했습니다. 우리는 이 글에서 “입법공백”이 행정부가[…]
추천 글
성·재생산 건강 연속기획 I – 임신중지를 의료로서 보장하기
시민건강연구소는 회원과 함께 “성·재생산 건강 연속기획 I – 임신중지를 의료로서 보장하기” 제목의 이슈페이퍼를 발간했습니다. 우리는 이 글에서 “의료”로서 임신중지의 과정과 특성을 찬찬히 살펴보고, 임신중지를 의료로서 보장하기 위해 어떤 과제들이 남아있는지를[…]
추천 글
취약성 개념은 건강권 운동에 생기를 불어넣을 수 있을까?
시민건강연구소가 2022년 들어 네 번째로 발간하는 이슈페이퍼 <취약성과 사회정의>입니다. 이번 이슈페이퍼에는 지난 5~7월에 건강정책연구센터에서 진행했던 ‘빈곤과건강’ 세미나에서 함께 공부했던 취약성 개념에 대한 이론적 논의들을 정리한 내용을 담았습니다. 한국의 보건의료체계, 그리고[…]
추천 글
[연구보고서]인권 관점의 방역체계 구축을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
코로나19 인권대응네트워크에서 질병관리청의 용역을 받아 코로서19 방역체계를 인권관점에서 평가한 보고서입니다. 시민건강연구소는 코로나19 인권대응네트워크에 소속되어 함께 활동해오고 있으며, 이 보고서 작성에는 김성이, 최홍조 연구원이 참여하였습니다. 지난 4월에 연구보고서를 제출하였고, 최근 정책연구관리시스템에[…]
추천 글
거제, 2017
거제, 2017 감독: 권순현 지난 6월 22일부터 7월 22일 현재까지, 한 달 동안 1㎥ 철장에 스스로 들어가 갇힌 조선업 노동자가 있습니다. 그 곳에서 그는 5년간 삭감된 하청업체 노동자들의 임금 회복,[…]
추천 글
포스트 코로나 시대, 의약품 생산의 변화된 정치경제와 시민사회 운동 전략 모색
‘더 나은 의약품 생산체제를 위한 시민사회 연대’의 2022년 이슈페이퍼, ‘포스트 코로나 시대, 의약품 생산의 변화된 정치경제와 시민사회 운동 전략 모색’을 공개합니다. ‘더 나은 의약품 생산체제를 위한 시민사회 연대’는 건강사회를 위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