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리풀연구통

서리풀연구통

치매돌봄이라는 시간의 노동

  권정은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최근 보건복지부는 2024년 7월부터 전국 22개 시군구에서 치매관리주치의 시범사업을 제공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치매관리주치의 시범사업은 치매를 전문으로 하는 의사가 치매와 건강 문제를 통합적으로 치료하고 관리하는 데에[…]

추천 글

서리풀연구통

누구에게나 ‘좋은 죽음’은 가능한가?

  권시정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지난 2일 ‘제2차 호스피스·연명의료 종합계획(2024∼2028년)’이 발표됐다. 계획에 따르면 정부는 “누구나 삶의 존엄한 마무리를 보장받는 사회”를 만든다는 비전 아래 호스피스 전문 기관을 2028년까지 현재 188개소에서 360개소로 약[…]

추천 글

서리풀연구통

문제 해결의 주체로서 ‘지역’은 누구인가?

  김찬기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지역의료가 위기라는 말과 글이 넘쳐나는 시절이다. 당장에 특단의 조치를 도입하지 않으면 지역의료는 이내 붕괴하고 말 것만 같다. 현실에 고통과 어려움이 있다는 것을 부인하지 않는다. 문제는[…]

추천 글

서리풀연구통

의사 파업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으려면

– 정부와 의사 갈등 속 소외된 공공의료 –   김지민(시민건강연구소 회원)   의료진 파업은 한 사회의 의료시스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논쟁적 사건이다. 특히 환자들이 겪게 될 잠재적 피해가 크다는 점에서[…]

추천 글

서리풀연구통

모두가 인격적으로 존중받는 사회를 꿈꾸며

– 이주민 건강과 사회통합 –   송경은 (시민건강연구소 영펠로우)   바야흐로 글로벌 사회이다. 이 식상한 어구를 다시 언급하는 이유는 전 세계적인 이주라는 인구 구조의 변화 흐름 속에서 한국 사회의 인종·민족적[…]

추천 글

서리풀연구통

영케어러가 짊어진 삶의 무게에 대하여

  김은지 (시민건강연구소 영펠로우)   문미순의 장편소설 ‘우리가 겨울을 지나온 방식’은 뉴스에서나 들어 보았을 법한 이야기를 다룬다. 죽은 부모의 시신을 유기하고 부모의 연금을 대리 수령하는 자녀들의 이야기이다. 신문 속 자극적인[…]

추천 글

서리풀연구통

중대재해법이 노동자의 건강으로 이어지기까지

  최강우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한국의 산업재해(이하 산재)는 오래되고 잘 알려진, 그러나 여전히 심각한 문제다. 이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숫자는 산재로 인한 사망 통계이다. 2022년 기준 한국의 산재 사고 사망률은 만[…]

추천 글

서리풀연구통

의사가 지역을 떠나는 이유

-의료취약지 해소를 위한 의료인력정책이 되려면-   고요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의료서비스가 더 필요한 곳에 의사와 의료기관이 더 적게 분포한다.” – 역의료 법칙(inverse care law) –   역의료 법칙은 1971년 영국의[…]

추천 글

서리풀연구통

여성 환자를 ‘의심’하는 응급실 내 젠더 불평등

  정승민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전공의들이 집단사직서를 제출했다. 이로 인해 응급 환자 진료에 큰 차질이 빚어지지 않을지 우려스럽다. 응급실 의사의 공백은 많은 응급환자의 생명을 위태롭게 만드는 일이다. 응급실에서의 신속하고 정확한[…]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