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리풀연구통

서리풀연구통

의과대학 유치 말고는 지역 의사 확보를 위한 지자체의 역할은 없나?

  김영수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경남 산청군은 연봉 3억 6천만 원을 제시했지만 보건의료원에서 일할 내과 전문의를 오랫동안 구하지 못하고 있다. 전국에 소재한 35개 지방의료원들 중 정원을 채운 병원은 11개소뿐이다(☞관련 기사:[…]

서리풀연구통

비도시 지역의 병원 폐업은 지역 주민의 외래 및 응급의료 민감질환 입원을 높일까?

  김슬기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몇 년 전부터 지방소멸이 중요한 사회적 이슈로 떠올랐다. 작년 말에 발간된 ‘2023 국회입법조사처 올해의 이슈’에서도 지방소멸을 비중 있게 다루고 있다.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보다 많은[…]

서리풀연구통

지역사회의 좋은 일자리 유치는 건강 문화 증진에도 기여할 수 있다

  정승민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좋은 일자리를 가지고 건강하게 사는 것’은 아마도 대부분의 사람들이 추구하는 기본적인 삶의 모습일 것이다.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 지역사회의 인구 감소 문제를 이야기할 때, 많은 사람들이[…]

서리풀연구통

건강 불평등의 책임을 묻는 지역사회의 힘

  김찬기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술, 담배가 건강에 해롭다는 사실을 모르는 사람은 없다. 적당한 신체활동이 우리 몸에 보약이라는 사실도 마찬가지. 그런데 왜 우리는 아는 대로 실천하지 못할까? 의지의 문제만은 아니다.[…]

서리풀연구통

병원 의무기록은 환자의 안전과 건강을 위해서만 작성될까?

  권정은 (시민건강연구소 영펠로우)     병원에서 환자가 제공받은 사항을 기록하는 의무기록은, 환자 자신이 진료 받은 사항을 이해하고, 추후 의료제공자가 적절한 진료 방향을 설정하여 치료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돕는[…]

서리풀연구통

‘추운 집’은 피할 수 있는 ‘사회적 가해’다

  조상근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최근 난방비가 크게 올랐다. 난방에 필요한 천연가스의 가격이 우크라이나 전쟁의 영향으로 급등하여 가스요금이 인상되었기 때문이다. 대통령실은 미국, 영국, 독일 등 국가는 2022년 대비 가스요금이 2~4배[…]

서리풀연구통

빈곤을 바라보는 시선의 위계 – 빈곤에 대한 새로운 정의가 필요하다

  권시정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설 연휴를 하루 앞두고 서울 구룡마을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이번 화재로 약 60채의 주택이 소실되었고, 62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구룡마을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집단[…]

서리풀연구통

돌봄 로봇은 독거노인에게 제대로 된 돌봄을 제공할 수 있을까?

김정욱(시민건강연구소 회원)     행정안전부의 지난 15일 발표에 따르면, 이제 1인 가구가 총 세대수의 41%(약 972만 세대)를 차지하는 시대가 되었다(행정안전부 보도자료). 통계청의 장래가구추계에서는 30대 이하가 주를 이루고 있는 현재와 달리[…]

서리풀연구통

보편적 건강권을 위한 글로벌 건강 운동의 도전

김지민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세계 각지의 건강 운동 활동가들은 사람들의 건강을 증진하고, 건강불평등을 야기하는 기저의 시스템 및 사회적 결정 요인에 도전하고자 노력해오고 있다. 코로나19라는 전 세계적 건강 위기가 종식되지도 않은[…]

서리풀연구통

경제위기 이후 주거비 증가와 피할 수 있는 사망

두레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최근 발표된 2021년 주거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국의 주거안전성은 여전히 불안정하다(기사 바로가기). 주택 구매를 위해 소득을 한 푼 안 쓰고 모아야 하는 기간이 늘어났고, 주택 구입을 위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