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리풀연구통

서리풀연구통

사는 곳이 기대수명을 결정하지 않도록 하려면

– 왜 사는 곳에 따라 기대수명이 다를까? – 박은혜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월세 계약기간 만료를 앞두고 이사를 결심했다. 부동산 앱을 켜고 올라온 매물을 둘러보니, 비슷한 크기와 구조를 가진 집이라도 어디에[…]

추천 글

서리풀연구통

“살던 집에서 나이 들고 싶다”는 말의 무게

  김민경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친할머니와 외할머니 두 분 모두 여든을 넘긴 나이에 여러 병을 얻은 지 오래되셨다. 두 분은 늘 “자식들한테 손 벌리고 살지 말아야지”라고 말씀하시곤 하셨다. 아파도 꾹[…]

추천 글

서리풀연구통

좋은 의사를 위한 조건, 다양성 있는 의대 입시

  정승민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2024년 지난 정부에서 시작된 ‘의정갈등’은 여전히 현재 진행형이다. 많은 전공의들이 병원으로 돌아오지 않았고, 의대생들 또한 1년 반이 넘도록 수업에 복귀하지 않고 있다. 일부 대학에서는 집단[…]

추천 글

서리풀연구통

감정노동과 산재 사각지대, 성 주류화가 필요한 이유

  느린 발걸음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여성 노동자는 남성에 비해 낮은 임금을 받을 가능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여성 비중이 높은 직업군 자체가 구조적으로 저평가되고 있다. 간호, 요양, 사회복지 서비스, 승무원,[…]

추천 글

서리풀연구통

최저임금이 건강한 일터를 만들려면

  최강우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제21대 대통령이 선출되었다. 대선 레이스가 펼쳐지는 동안 후보들의 말 한 마디 한 마디가 매일의 헤드라인이었다. 그리고 단연 많은 사람들의 최대 관심사는 “경제”였다. 어떤 후보가 숨[…]

추천 글

서리풀연구통

ADHD, 조기 진단만이 능사일까?

정신의학이 놓친 시간, 그들이 살아낸 통찰의 시간   권정은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최근 들어 주의력결핍 과다행동장애(ADHD)의 진단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관련기사: 바로가기1, 바로가기2). 한편에서는 급격한 수요 증가로 ADHD 치료제 공급 부족[…]

추천 글

서리풀연구통

노년의 노동, 죽음에 더 가깝다

-고령노동자의 산업재해 사망에 대한 연구-   최보경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좀처럼 받아들이기 어려운 말, ‘일하다 죽는다.’ 여전히 하루도 빠짐없이 일하다 다치거나 숨지는 노동자에 대한 기사를 마주하고 있다. 고용노동부가 지난 4월[…]

추천 글

서리풀연구통

환자 관점에서 환자 ‘중심’ 병원이란?

  권시정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종합병원을 홍보하는 문구 중 ‘환자 중심 의료’, ‘환자 중심 병원’이라는 말을 한 번쯤 접해본 적이 있을 것이다. 다음은 한 민간 종합병원의 홍보 자료에서 가져온 단어들이다.[…]

추천 글

서리풀연구통

과도한 영리추구 행태를 통제하는 실손보험 개혁이 필요하다

  김영수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2000년대 초반에 도입된 실손의료보험은 국민건강보험을 보완한다는 취지로 도입되었지만, 비급여 의료의 과잉공급, 의료이용의 증가로 인한 국민건강보험의 부담증가, 의료공급자의 비급여시장 쏠림 현상 등 다양한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다.[…]

추천 글

서리풀연구통

국경 안의 식민지: 팔레스타인인의 건강을 파괴하는 이스라엘의 구조적‧인종주의적 폭력

  김지민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팔레스타인 민중들은 한 세기 이상 식량난, 점령과 박탈, 학살의 재앙을 견디고 있다. 최근 중재국이 제안한 향후 5년간 휴전안에 대해 팔레스타인의 하마스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지만, 이스라엘은[…]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