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건강연구소 젠더건강연구센터는 2022년 9월부터 2023년 1월까지 5개월에 걸쳐 회원들과 함께 ‘젠더레짐’을 공부했습니다. 건강에 대한 기존 지식들을 젠더 관점에서 재탐색하기 위한 지적 도구를 쌓기 위한 공동 학습의 과정에서 우리는 건강의 여러[…]
연구보고서
A situational analysis of Equitable Access to COVID-19 Technologies in South Korea
EACT 한국 프로젝트가 1년간의 활동을 마무리하며 작성한 보고서 <한국의 코로나19 기술 접근성 상황 분석>을 공개합니다. 시민건강연구소는 한국민중건강운동(PHM Korea) 사무국으로서, 민중건강운동(PHM)의 글로벌 프로젝트 ‘코로나19 맥락에서 필수보건기술에 대한 공평한 접근 촉진하기(EACT)’ 프로젝트에[…]
추천 글
[PHI연구보고서 2021-10] 코로나19 백신접종과 시민의 권리
시민건강연구소가 지난 4월부터 진행했던 연구보고서 [코로나19 백신접종과 시민의 권리]가 완성되었습니다. 코로나19에 대한 두번째 연구보고서입니다. 작년에 발표한 [인권중심 코로나19 시민백서:코로나19 시대 시민의 삶, 우리의 권리]에서는 신종감염병이 시민들의 삶과 우리 사회에 어떤[…]
추천 글
인권기반 코로나19 방역체계 구축을 위한 사례연구
경기도 공공보건의료지원단과 시민건강연구소는 2020년 12월 [인권기반 코로나19 방역체계 구축을 위한 사례연구]를 공동 수행한 바 있습니다. 이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사람중심의 방역체계 구축을 위한 방안을 찾기 위하여 장애인복지시설과 청소년 긴급보호시설에 대한[…]
추천 글
이주민 건강권 실태와 의료보장제도 개선방안 연구
이주·인권·시민사회단체들이 작년 한 해 공동으로 진행한 <이주민 건강권 실태와 의료보장제도 개선방안 연구> 최종보고서가 발간되었습니다. 이주와 인권연구소가 책임을 맡고, 이주민과 함께, 한국이주민건강협회 희망의친구들, 한국이주동포정책개발연구원 등 이주 단체들과, 난민·이주민 권리를 위해 오랫동안[…]
추천 글
기초생활보장제도 20년, 빈곤층의 몫찾기 20년
수급권자의 경험과 제도변화, 운동, 판례, 이의신청을 통해 보는 기초생활보장제도 20년 <기초법바로세우기공동행동>은 기초생활보장제도 20년을 맞아 기초생활보장제도의 개정을 위한 운동, 급여별 쟁점과 변화, 주요 판례와 이의신청 및 수급권자와 사회복지노동자 등 기초생활보장제도 주변[…]
추천 글
[연구보고서 2020-11] 보건의료노동자, K-방역을 말하다: 더 나은 팬데믹 대응을 위한 제안
코로나19 유행이 시작된 지 1년이 되어가는 현재, 많은 사람이 유행의 장기화를 예상하고 있다. 팬데믹에서 모두의 안전을 지키기 위한 방역대응의 지속가능성과 보건의료체계의 회복탄력성 측면에서 보건의료 노동자의 건강과 안전은 매우 중요한[…]
추천 글
[PHI연구보고서 2020-10] 인권중심 코로나19 시민백서: 코로나19시대 시민의 삶, 우리의 권리
시민건강연구소가 지난 3월부터 진행했던 [인권중심 코로나19 시민백서:코로나19시대 시민의 삶, 우리의 권리]가 완성되었습니다. 이 보고서는 2015년 메르스 유행에 대한 우리의 평가작업(<인권중심의 위기대응: 시민, 2015 메르스 유행을 말하다>)의 연장선 위에 있습니다. 문제의식과[…]
추천 글
[연구보고서] 재난거버넌스와 민주적 공공성
코로나19 유행으로 초래된 공중보건 위기를 맞아, 재난 거버넌스 문제를 다루었던 연구보고서를 뒤늦게 공개한다. 2016년 여름에 완성한 원고를 3년 반이 지나서야 공개하는 것이니, 설명을 덧붙이지 않을 수 없다. 이 원고는[…]
추천 글
어린이건강권사업 보고서 2013-2016
시민건강연구소에서 CHI 연구기금으로 2013년부터 4년동안 진행했던 어린이건강권사업보고서입니다. 어린이건강권사업에 대한 소개와 활동내용, 그리고 함께 사업을 진행한 다양한 참여자들의 평가를 담았습니다. <여는 글> 시민건강연구소에서 어린이건강권사업을 진행한 지도 벌써 6년이 흘렀습니다. 2013년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