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리풀연구통

‘손 씻기’ 강조가 감추는 것들

1,615회 조회됨

[서리풀 연구通] 개인 책임만 강조하는 접근은 위험

 

김정우 (시민건강연구소 연구원)

 

요즘같이 폭염이 계속되면 언론에서는 ‘설사병’을 우려하는 기사가 빠지지 않는다. 겨울철이면 독감 기사가 그 자리를 차지한다. 그리고 이들 기사는 공통적으로 ‘손 씻기’를 강조한다. 2015년 메르스가 크게 유행했을 때에도 언론에서는 손 씻기를 강조했다(☞관련 기사: 메르스 첫 완치, 메르스 예방수칙 방법은? “철저히 손씻기”). 이 밖에 수족구병, 폐렴, 결핵, 유행성 눈병 등 온갖 감염병뿐 아니라 심지어 환경 호르몬 피해를 줄이는 데에도 손을 씻는 것이 중요하다고 한다(☞관련 기사: 집안 환경 호르몬 ‘득실’… 손 자주 씻어야)

 

손 씻기는 공중보건과 위생의 알파이자 오메가인 셈이다. 그런데 최근 국제학술지 <비판적 공중보건(Critical Public Health)>에는 조금 다른 관점의 논문이 실렸다(☞논문 바로 가기: 거품 일으키기: 캐나다 신문에서 손 위생의 부흥(과 몰락?), 1986-2015). 손 씻기만 강조하는 뉴스들이 개인 위생을 감염 예방의 가장 중요한 대책으로 여기게 만들고, 구조적 측면은 간과한 채 개인의 행동과 교육만 강조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캐나다 신문들에서 제목과 도입 문단에 ‘손 씻기’와 ‘손 위생’이라는 단어가 포함된 총 518개의 기사들을 가려냈다. 그리고는 이들 기사에서 손 위생이 중심 내용인지, 손 씻기/위생에 대해 어떤 입장을 취하고 있는지(긍정적, 부정적, 둘 다, 혹은 입장이 없는), 어떤 종류의 기사인지(뉴스 리포트, 편지, 칼럼, 사설) 등을 분석했다.

 

손 씻기 기사는 2003년 사스(SARS)와 2009년 인플루엔자(H1N1)가 유행할 때 가장 많았고 2009년 이후에는 크게 줄어들었다. 특이한 현상은 사스와 인플루엔자 유행 사이에 또다시 손 위생 관련 기사가 급증한 것이었다. 당시에 의료 관련 감염이 이슈가 되면서, 보건의료인들의 손 위생에 대한 기사가 많아진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2006년 캐나다 연방정부가 손 위생을 중점으로 하는 WHO의 의료관련감염 감소 전략 캠페인 “깨끗한 돌봄이 안전한 돌봄(Clean Care is Safer Care)”에 참여한 것과 관련 있는 것으로 보인다.

 

지난 30년 동안 손 위생을 권고하는 대상도 바뀌었다. 초기에는 일반 대중들에게 개인의 책임과 훌륭한 시민성을 강조하며 손 씻기를 권고했다면, 2007년부터는 보건의료인의 손 위생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전환되었다. 2008년 즈음부터는 환자들을 캠페인에 끌어들였는데, 의료인들에게 손 씻기를 촉구하라는 내용이었다. 연구팀은 의료인들의 책임을 강조했던 것이 효과가 시원치 않자 환자들에게 그들 자신의 손을 씻는 것뿐만 아니라 그들을 돌보는 사람들의 위생 문제까지 해결하도록 요구한 것이라고 해석했다.

 

손 씻기 혹은 손 씻기 캠페인에 대한 입장을 살펴보면, 부정적 평가를 하는 기사가 5%,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을 모두 다룬 기사가 11% 정도였으며, 대다수는 종종 강력한 도덕적 메시지와 함께 손 위생을 강조했다. 일부 기사는 의료관련감염을 다루면서 병원이 너무 붐비는 문제, 부적절한 장갑 사용, 지저분하고 낙후한 시설 등은 뒤로 한 채 손 씻기만 강조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비판하기도 했으나 이는 극소수에 불과했다.

 

이렇게 손 위생만을 강조하는 보도 행태는 공중보건에서 책임의 개인화 추세를 반영한다. 감염병을 확산시키는 원인은 불결한 손뿐 아니라 공중보건 예산, 붐비는 병원, 부족한 의료인력, 낙후된 시설 등 다양하다. 그런데도 개인행동만을 강조하는 것은 복잡한 공중보건 문제를 지나치게 단순화하는 결과를 낳는다. 우리 행동에 제약을 가하고 영향을 미치는 더 큰 맥락에 대해서는 간과하도록 만든다.

 

이는 감염병과 손 씻기에만 국한된 이야기가 아니다. 예컨대 최근 정부에서 종합대책까지 발표한 비만 문제 역시 개인의 행위와 책임만 강조한다면 더 큰 사회적, 물리적 환경에 대한 개입을 놓치게 될 것이다(☞관련 기사: 국가 비만관리 종합대책 확정…고도비만 수술에 건강보험 적용). 물론 개개인이 스스로를 지키기 위한 실천은 매우 중요하다. 손 씻기 그 자체는 개인 차원에서 더할 나위 없이 훌륭한 위생대책임이 분명하다.

 

하지만 여기에서 멈추면 곤란하다. 시민들이 혹은 보건의료인들이 충분히 손 위생을 지키기 어렵게 만드는 조건은 무엇인지, 개인들이 아무리 손을 씻어도 사라지지 않는 위험은 무엇인지, 왜 발생하는지 구조적 진단과 대응이 반드시 함께 가야 한다.

 


 

수많은 언론이 하루가 멀다 하고 최신 의학 기술이나 ‘잘 먹고 잘 사는 법’과 관계있는 연구 결과를 소개합니다. 대표적인 것이, “하루에 ○○ 두 잔 마시면 수명 ○년 늘어나” 같은 것들입니다. 반면 건강과 사회, 건강 불평등, 기존의 건강 담론에 도전하는 연구 결과는 좀처럼 접하기 어렵습니다.

<프레시안>과 시민건강연구소는 ‘서리풀 연구통通’에서 매주 금요일, 건강과 관련한 비판적 관점이나 새로운 지향을 보여주는 연구 또 논쟁적 주제를 다룬 연구를 소개합니다. 이를 통해 개인의 문제로 여겨졌던 건강 이슈를 사회적 관점에서 재해석하고, 건강의 사회적 담론들을 확산하는데 기여하고자 합니다.

 

시민건강연구소 정기 후원을 하기 어려운 분들도 소액 결제로 일시 후원이 가능합니다.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