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에 있는 누군가가, 아마도 당신은 믿기 어렵겠지만, ‘페미사이드(femicide)’에 관한 협약을 제안했어. 마치 탈취제 스프레이 이름처럼 들리지?” 미국 작가 앨리스 셀던(필명 제임스 팁트리 주니어)이 1977년 발표한 단편소설 <체체파리의 비법> (아작, 2016)의 한 구절이다. 해충 박멸 연구 때문에 콜롬비아 오지에 체류 중인 과학자 남편에게, 미국에 있는 (역시 과학자인) 아내가 다급하게 편지를 보낸다. 현재 남성들에 의한 조직적 페미사이드가 유행병처럼 퍼져나가는 중이라고. 걷잡을 수 없는 이 상황이 너무나 두렵다고.
남성에 의한 여성 살해는 역사적으로 오래되고, 지구촌 곳곳에 만연한 현상이다. 이를 페미사이드라고 명명하게 된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이다. 1976년 여성주의 작가 다이애나 러셀은 ‘여성이라는 이유로 일어나는 남성에 의한 여성 살해’를 ‘페미사이드’로 호명했다. 라틴아메리카 같은 지역에서는 문자 그대로 여성 살해를 지칭하는 일반명사처럼 쓰이지만, 이 개념은 여성 살해 그 자체보다는 ‘여성이기 때문에’ 살해당하는 사실에 초점을 둔다. 러셀은 1992년 출판한 책 <페미사이드>(책세상, 2018)에서 “페미사이드는 역사적으로 불평등한 남녀의 권력관계에서 기원한 것으로 여성에 대한 증오, 경멸, 쾌락 혹은 소유 감각이 동기가 되어 남성이 자행한 여성에 대한 여성혐오적 살해”라고 정의했다.
………….
(시사인 제635호 기사 바로가기)
시민건강연구소 김명희 상임연구원이 시사주간지 “시사IN” 에 3월부터 새 연재코너 [김명희의 건강정치노트] 를 시작했습니다. 더 많은 회원들과 함께 나누고자 연재를 소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