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방

고전읽기

시건연 고전 50권 읽기 모임

  시민건강증진연구소가 2014년 1월부터 회원들과 고전 50권 읽기 모임을 진행합니다. 눈앞에 직면한 연구 문제나 정책적 과제를 해결하는데 급급하다 보면 그러한 문제들의 근본을 다루고 있는 ‘고전’에 대한 갈망이 커지기 마련입니다. 부분[…]

추천 글

월례세미나

[11월 월례세미나 안내] 건강의 집 쁘로젝트: 지역사회를 향한 청년들의 도전

2013년 연구소 월례 세미나는 ‘대안적 생산체제’라는 큰 주제안에서 진행되고 있습니다. 11월 월례세미나는 대안을 꿈꾸고 깊이 고민하고  있는 청년들의 도전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함께 생각해보는 시간을 마련했습니다.   제목: 건강의 집 쁘로젝트:[…]

추천 글

월례세미나

[10월 월례세미나 안내] 자본주의적 생산체계의 대안

  건강사회를 위한 대안담론을 만들어가는 연구조직인 시민건강증진연구소의 10월 월례세미나 주제는 ‘대안적 생산체계’입니다. 최근, 연구소에서는 보건의료개혁에 있어서 대안생산체제에 대한 고민을 하고 있습니다. 이런 고민을 연구소 안팎의 많은 분들과 함께 생각하고 이야기를[…]

추천 글

고전읽기

회원들과 함께 하는 ‘고전 50권 읽기 모임’ 안내

  시민건강증진연구소가 회원들과 함께 하는 ‘고전 50권 읽기 모임’을 진행하려고 합니다. 눈앞에 직면한 연구 문제나 정책적 과제를 해결하는데 급급하다 보면 그러한 문제들의 근본을 다루고 있는 ‘고전’에 대한 갈망이 커지기 마련입니다.[…]

추천 글

학당

[2013년 2학기 서리풀 학당] 대안건강체계의 이론, 이념, 윤리

  ● 강사: 김창엽 (시민건강증진연구소 소장,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교수)   ● 강좌의 목표 ․대안건강체계의 개념과 근거를 논의한다. ․대안건강체계의 이념으로서 건강권과 건강 정의의 가능성과 한계를 검토한다. ․대안건강체계의 구성원리로서 민주주의, 공공성, 대안생산체계를[…]

추천 글

학당

[2013 하계 서리풀 학당] 건강불평등 측정 방법론

<건강불평등 측정 방법론>     ● 강좌의 목표 ․통계적 추론의 의미, 실증주의적 접근의 가능성과 한계를 이해한다. ․건강불평등 지표들에 내재한 가치와 전제들을 이해한다. ․건강불평등 문제를 실증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을 이해하고 활용할 줄[…]

추천 글

월례세미나

[모두에게 열려있는 월례세미나] 6월 28일 금요일! ‘공공의료, 이제는 말할 수 있다!’

시민건강증진연구소의 6월 월례세미나 안내입니다.   이번 월례세미나는 전 수원의료원, 전 삼척의료원 원장으로 재직하셨던, 박찬병 선생님께서 진행해주십니다.   주제는 ‘공공의료, 이제는 말할 수 있다!’ 입니다.   박찬병 선생님은 진주의료원 사태에 대해서도 […]

추천 글

토요세미나

[서리풀 토요세미나: 20130511] Interpreting Epidemiologic Evidence #2

2013년 5월 11일 오전 10시 연구소에서, 서리풀 토요세미나의 2차 세미나가 있었습니다. 원래 4월 27일에 예정되었으나, 불가피한 사정에 의해 (발제자의 무능력) 한 차례 순연되게 되었습니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2장 역학근거의 속성 중[…]

추천 글

토요세미나

[서리풀 토요세미나: 20130413] Interpreting Epidemiologic Evidence #1

2013년 4월 13일, 5번째 서리풀 토요세미나가 개시하였습니다. 사전 경쟁을 뚫고, 선정된(선정방법: 선착순)10명의 정예 멤버가 구성되었습니다. 이 세미나는 사회역학-정책협동을 위해 기획한 것이지만, 이번 세미나는 역학방법론에 대한 보다 심도있는 점검을 위해 David[…]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