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하반기 서리풀 학당 ‘비판적 실재론’ 입문: 건강 연구와 실천에 적용하기 2022.08.09. 1. 강좌 개설의 배경과 의미 통계적 분석과 같은 양적 방법만이 ‘과학적’이라는 실증주의적 사조는 이미 오래전 기각되었지만,[…]
학당
[2022년 상반기 서리풀 학당] 젠더 관점의 건강과 보건의료
1. 강좌 개설 배경 “젠더”는 최근 한국 사회에서 가장 활발하게 호출되는 정치적 심급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이는 근래 EBS의 공개강좌에서 쥬디스 버틀러가 이야기 하였듯, 대단히 미국적인 개념이기도 합니다. 영어로[…]
[2021년 하반기 서리풀학당] ‘사람과 시민 관점’의 공중보건 위기대응 체계
강좌개설의 배경 코로나19 대유행이 1년 9개월째 지속되고 있습니다. 그동안 서리풀학당에서는 <공중보건위기와 공공보건의료>, <새로운 (포스트) 코로나 체제의 모색>, <코로나19 유행과 대응> 이라는 주제로 다양한 관점과 지식으로 코로나19의 영향과 대안을 검토해왔습니다.[…]
[2021년 상반기 서리풀학당] 코로나19 유행과 대응 – 평가와 과제
코로나19 유행과 대응 – 평가와 과제 강좌개설의 배경 코로나19 유행이 시작된 후 1년이 지났고 백신 접종이 눈앞으로 다가왔지만, 앞으로도 유행이 되풀이되고 사회경제적 고통이 가중될 수 있다는 전망이 많습니다. 당장[…]
[2020년 하반기 서리풀학당] 새로운 (포스트) 코로나 체제의 모색
“새로운 (포스트) 코로나 체제의 모색” 강좌개설의 배경 코로나19 유행이 적어도 일 년 이상 장기화하리라는 예상이 많은 가운데, 팬데믹이 만들어낼 개인과 한국 사회의 변화는 이제 막 시작한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경제적 어려움은[…]
[2020년 상반기 서리풀학당] 공중보건위기와 공공보건의료
“공중보건위기와 공공보건의료” 강좌 개설의 배경 시민건강연구소에서는 2019년 하반기 서리풀학당을 <공공성과 공공보건의료, 새로운 길을 찾아>라는 주제로 진행했습니다. 민주적 공공성에 의한 건강레짐이 한국 보건의료의 근본적 개혁기반이 될 수 있을[…]
[신청마감][2019년 하반기 서리풀학당] “공공보건의료, 새로운 길을 찾아”
1.강좌 개설의 배경 시민건강연구소는 2012년 <서리풀 공공성 세미나>를 통해 공공과 공공성의 개념, 공공과 국가, 보건의료와 공공성, 한국에서의 공공보건의료 등 다양한 공공의 의미를 고민하고, 민주적 공공성에 의한 건강레짐이 한국 보건의료의 근본적[…]
[마감임박!][2019년 상반기 서리풀학당] “건강과 보건의료의 정치경제 – 우리의 건강을 위해 자본주의 넘어서기”
2019년 상반기 서리풀 학당 “건강과 보건의료의 정치경제 – 우리의 건강을 위해 자본주의 넘어서기” 강좌 개설의 배경과 의미 정치경제(political economy)는 다양한 맥락과 의미에서 사용됩니다. 때로는 맑스주의 분석의 동의어로, 또 다른 경우에는[…]
[알림] 시민건강연구소 2018년 하계워크샵 사전조사
연구소는 “건강과 보건의료의 정치경제”라는 주제로 2018년 하계 워크샵을 기획하고 있습니다. ‘문재인케어’의 사례에서 보듯이 급여화와 수가 인상을 둘러싼 전통적인 건강정책 이슈부터 노동자들의 직업병 인정이나 국제 무역협정의 개정으로 인한 국내 약가정책 변동에 이르기까지, 건강과[…]
[공지] 2018 상반기 서리풀 학당 수강신청 관련 안내
2018 상반기 서리풀 학당 “건강과 보건의료의 정치경제” 홈페이지 게시물 상 수강신청 이메일 주소가 약 2일 동안 phi.hakdang@gmail.com 이 아닌 hakdang@gmail.com 으로 게시되었습니다. 워드프레스 구현 과정에서의 기술적 오류로, 게시물 상 링크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