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당

소식 추천글 학당

[2023년 하반기 서리풀 학당] 민영화, 무엇이 문제인가

1. 강좌 개설 배경   지난해 출범한 윤석열 정부는 노골적인 친기업·친시장적 정책 기조를 내세우며 에너지, 교통, 복지, 교육, 보건의료 등 필수 사회서비스 영역에서 민영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민영화를 공공기관 매각[…]

추천 글

소식 학당

[2023 상반기 서리풀 학당] 새로운 돌봄 체제 모색 – 정책과 사업을 넘어 (현장 수강신청 마감 / 온라인 수강신청만 가능)

1. 강좌 개설 배경 최근 “돌봄”을 다루는 텍스트와 논의가 크게 증가했습니다. 돌봄은 인류 역사에 언제나 존재했고, 돌봄의 사회화 혹은 돌봄의 공공화가 사회 의제이자 정책 과제가 된 지도 오래되었습니다. 그러나 그[…]

추천 글

학당

[2022년 하반기 서리풀학당] ‘비판적 실재론’ 입문: 건강 연구와 실천에 적용하기

2022년 하반기 서리풀 학당 ‘비판적 실재론’ 입문: 건강 연구와 실천에 적용하기   2022.08.09.   1. 강좌 개설의 배경과 의미 통계적 분석과 같은 양적 방법만이 ‘과학적’이라는 실증주의적 사조는 이미 오래전 기각되었지만,[…]

추천 글

학당

[2022년 상반기 서리풀 학당] 젠더 관점의 건강과 보건의료

1. 강좌 개설 배경 “젠더”는 최근 한국 사회에서 가장 활발하게 호출되는 정치적 심급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이는 근래 EBS의 공개강좌에서 쥬디스 버틀러가 이야기 하였듯, 대단히 미국적인 개념이기도 합니다. 영어로[…]

추천 글

소식 학당

[2021년 하반기 서리풀학당] ‘사람과 시민 관점’의 공중보건 위기대응 체계

강좌개설의 배경   코로나19 대유행이 1년 9개월째 지속되고 있습니다. 그동안 서리풀학당에서는 <공중보건위기와 공공보건의료>, <새로운 (포스트) 코로나 체제의 모색>, <코로나19 유행과 대응> 이라는 주제로 다양한 관점과 지식으로 코로나19의 영향과 대안을 검토해왔습니다.[…]

추천 글

소식 학당

[2021년 상반기 서리풀학당] 코로나19 유행과 대응 – 평가와 과제

코로나19 유행과 대응 – 평가와 과제 강좌개설의 배경   코로나19 유행이 시작된 후 1년이 지났고 백신 접종이 눈앞으로 다가왔지만, 앞으로도 유행이 되풀이되고 사회경제적 고통이 가중될 수 있다는 전망이 많습니다. 당장[…]

추천 글

소식 학당

[2020년 하반기 서리풀학당] 새로운 (포스트) 코로나 체제의 모색

“새로운 (포스트) 코로나 체제의 모색” 강좌개설의 배경 코로나19 유행이 적어도 일 년 이상 장기화하리라는 예상이 많은 가운데, 팬데믹이 만들어낼 개인과 한국 사회의 변화는 이제 막 시작한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경제적 어려움은[…]

추천 글

소식 학당

[2020년 상반기 서리풀학당] 공중보건위기와 공공보건의료

  “공중보건위기와 공공보건의료”   강좌 개설의 배경   시민건강연구소에서는 2019년 하반기 서리풀학당을 <공공성과 공공보건의료, 새로운 길을 찾아>라는 주제로 진행했습니다. 민주적 공공성에 의한 건강레짐이 한국 보건의료의 근본적 개혁기반이 될 수 있을[…]

추천 글

학당

[신청마감][2019년 하반기 서리풀학당] “공공보건의료, 새로운 길을 찾아”

1.강좌 개설의 배경 시민건강연구소는 2012년 <서리풀 공공성 세미나>를 통해 공공과 공공성의 개념, 공공과 국가, 보건의료와 공공성, 한국에서의 공공보건의료 등 다양한 공공의 의미를 고민하고, 민주적 공공성에 의한 건강레짐이 한국 보건의료의 근본적[…]

추천 글

국제연대 학당

[마감임박!][2019년 상반기 서리풀학당] “건강과 보건의료의 정치경제 – 우리의 건강을 위해 자본주의 넘어서기”

2019년 상반기 서리풀 학당 “건강과 보건의료의 정치경제 – 우리의 건강을 위해 자본주의 넘어서기” 강좌 개설의 배경과 의미   정치경제(political economy)는 다양한 맥락과 의미에서 사용됩니다. 때로는 맑스주의 분석의 동의어로, 또 다른 경우에는[…]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