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 시민단체인 시민건강연구소와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가 다양한 직군의 보건의료 노동자 24명을 심층 인터뷰한 <보건의료노동자, K-방역을 말하다: 더 나은 팬데믹 대응을 위한 제안>을 10일 발간한다. 시민건강연구소는 이들의 생생한 증언을 토대로 보건의료[…]
소식
[연구보고서 2020-11] 보건의료노동자, K-방역을 말하다: 더 나은 팬데믹 대응을 위한 제안
코로나19 유행이 시작된 지 1년이 되어가는 현재, 많은 사람이 유행의 장기화를 예상하고 있다. 팬데믹에서 모두의 안전을 지키기 위한 방역대응의 지속가능성과 보건의료체계의 회복탄력성 측면에서 보건의료 노동자의 건강과 안전은 매우 중요한[…]
추천 글
[PHI연구보고서 2020-10] 인권중심 코로나19 시민백서: 코로나19시대 시민의 삶, 우리의 권리
시민건강연구소가 지난 3월부터 진행했던 [인권중심 코로나19 시민백서:코로나19시대 시민의 삶, 우리의 권리]가 완성되었습니다. 이 보고서는 2015년 메르스 유행에 대한 우리의 평가작업(<인권중심의 위기대응: 시민, 2015 메르스 유행을 말하다>)의 연장선 위에 있습니다. 문제의식과[…]
추천 글
[한겨레]토요판 특집: 사람과 인권의 눈으로 본 코로나19
시민건강연구소가 <인권 중심 코로나19 시민백서>를 20일 발표한다. 사람과 인권을 중심에 둔 ‘시민백서’는 국가·행정·전문가와는 다른 시선으로 코로나19를 본다. 확진자 통계와 감염 경로 관리에 대한 평가 대신 평소 눈에 보이지 않다가[…]
추천 글
후원회원님! 연락처 (이메일주소/핸드폰번호/주소) Update 부탁드려요!
후원회원님! 이메일주소, 집주소, 핸드폰번호가 변경되셨다면 업데이트 부탁드려요. 연구소 창립을 기념하는 작은 선물을 준비했습니다. 또 2021년 달력도 발송할 예정이고요. 누락되시는 회원님들이 없도록 가입당시의 연락처와 주소가 변경되셨으면 꼭 알려주세요. 업데이트[…]
추천 글
[시민건강연구소 창립기념 연속세미나] “새로운 세계, 새로운 연구공동체의 모색”
2006년 건강세상네트워크의 노력으로 탄생한 시민건강증진연구소가 독립하여 본격적 연구활동을 시작한지 어느 덧 10년이 흘렀습니다. 그 사이 ‘시민건강증진연구소’는 조금 더 쉽고도 폭넓은 뜻을 갖는 ‘시민건강연구소’로 이름을 바꾸었고, 세 명이던 단촐한 식구는 상근[…]
추천 글
[2020년 하반기 서리풀학당] 새로운 (포스트) 코로나 체제의 모색
“새로운 (포스트) 코로나 체제의 모색” 강좌개설의 배경 코로나19 유행이 적어도 일 년 이상 장기화하리라는 예상이 많은 가운데, 팬데믹이 만들어낼 개인과 한국 사회의 변화는 이제 막 시작한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경제적 어려움은[…]
추천 글
2020 한국 민중건강운동(PHM Korea) 펠로우를 찾습니다
한국 민중건강운동(PHM Korea)과 함께 할 펠로우를 찾습니다. 프로그램 목표: 진보적 담론/대안/운동을 지향하는 연구 활동의 후속 세대 양성 펠로우쉽 기간: 8개월 (2020년 11월 1일~2021년 6월 30일) 자격: 석사 졸업자 혹은[…]
추천 글
9/12 전국 동시다발 기후위기비상행동
9/12 전국 동시다발 기후위기 비상행동 “우리는 살고 싶다” 시민건강연구소 연대단체인 <기후위기 비상행동>은 코로나, 폭염, 폭우 그리고 기후비상의 시기에 9월을 집중행동의 달로 선포하고 기후위기에 대한 경각심을 가지고, 정부와 국회에 대책을 요구하는[…]
추천 글
[기후위기 비상행동 토론회] 기후위기시대, 생존을 모색하다
8월 첫 주말에 내렸던 엄청난 비를 “장마가 아닌 기후위기”라고 불러야 한다는 해시태그운동을 기억하시나요? 가장 따뜻한 겨울, 가장 더운 봄, 곤충의 대출현, 역대급 폭우, 그 한가운데 코로나 19.. 우리가 아주 짧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