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명서

[공동성명] 과학이 가자 집단학살(Genocide)의 도구가 되어선 안 된다!

12회 조회됨

-과학의 날 맞이, 과학기술인들의  한국-이스라엘 과학기술교류 동결 촉구 성명문-

 

1.지난 3월 18일 이스라엘군의 공격 재개로 인해 가자지구의 불안한 휴전이 깨졌다.  전쟁이 재개된 당일에만 이스라엘군에 의해해 400명이 넘는 사람이 살해됐다. 2년째에 접어들고 있는 가자 학살 전쟁은 이스라엘의 자위권 행사 범위를 훨씬 벗어난 것으로, 국제사법재판소는 학살 전쟁 시작 4개월 후인 2024년 1월에 이스라엘이 가자지구에서 집단학살을 자행하고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며 집단학살을 방지하라는 임시 조치 명령을 내렸다. 국제사회는 물론 우리 정부에서도 이에 대해 규탄하고 있으며, 국제형사재판소 또한 이스라엘 총리와 국방장관의 “인도에 반한 죄” 혐의를 물어 이들에 대한 체포영장을 발부하였다.

 

2. 국내 과학기술계는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의 반인도적 행위를 규탄하는 성명을 발표한 적이 있다. 그러나, 국제사회의 강력한 제재가 가해져 사실상 과학기술 협력이 불가능해진 러시아와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집단학살에 대한 대응은 명백히 다르게 취급되고 있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했을 때는 우리를 포함한 국내외의 거의 모두가 한목소리로 러시아를 규탄했다. 그러나 그와 동일한, 혹은 더욱 심각한 이스라엘의 반인도적인 범죄 행위에 대한 침묵은 진실성이 결여된 이중잣대라는 혐의를 피할 수 없게 만든다.

 

3.우리나라와 이스라엘은 1994년 과학기술 협력 협정을 체결하고, 2022년 양자 협력 협정을 체결하여 연구 기금을 조성하였다. 협정 이후 설립된 한-이 산업연구개발재단에서는 꾸준히 농업, 통신, 에너지, 반도체, 교통수단, 보건 분야에 관한 연구 등 전 산업에 걸친 협력을 지금까지도 활발히 지원하고 있으며, 작년 7월 우리나라 산업부 주관으로 열린 한-이 이노베이션 데이 행사에는 아예 방산업체 Israel Aerospace Industries (IAI)가 협력을 타진하기 위해 참석했다. 또한, 연세대학교에서는 재단과는 별도로 이스라엘 텔아비브 대학과 전 분야에 걸친 협력 과제를 진행할 예정이다.

 

4.국가 총력전 상황에서는 모든 과학기술이 전쟁에 쓰일 수 있다는 것을 우리는 역사를 통해 잘 알고 있다. 이스라엘은 최소한의 윤리를 무시하고 집단학살을 수행하고 있다. 지금과 같은 상황에서 이스라엘의 산업을 우리나라가 함께 발전시키는 것이 과연 옳은 일인가? 한국과 공동 개발할 기술이 전쟁과 학살에 이용되었을 때 책임이 없다고 할 수 있는가?

 

5.우리 한국 과학기술인들은 자신의 연구가 반인도적 행위에 악용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과학 기술 연구자들에게 다음을 제안한다: 이스라엘이 휴전에 다시 응해 영구적인 휴전 협정을 체결할 때까지만이라도, 협력 사업 진행과 지원을 멈추자.

 

6.우리는 다음과 같이 촉구한다.

이스라엘은 지금 당장 집단학살 중단하라 !
한국 정부와 기업, 대학은 이스라엘과의 과학기술협력 동결하라 !

 

2025. 04.21. 

성명 주관단위:  팔레스타인과 함께하는 한국 시민사회 긴급행동

참여 과학기술계 단체: 전국대학원생노동조합지부 | 녹색당 과학기술위원회(준) | 민주평등사회를 위한 전국 교수연구자협의회 | 전국공공연구노동조합 | 전국교수노동조합 |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참여 단체: 녹색당 국제위원회 | 대한예수교 장로회 언약교회(이천 한익스프레스 물류창고 화재참사 고 김형주 님 유가족모임) | 들불 | 민주일반연맹 전국민주일반노동조합 누구나노조지회 | 반도체노동자의 건강과 인권지킴이 반올림 | 서울대학교 팔레스타인 연대 동아리: 수박 (SNU Palestine Solidarity Group: Soobak) | 실천하는 국민대 학생모임 ‘비상구’ | 연세대학교 비정규 노동문제 해결을 위한 공동대책위원회 | 인권운동네트워크 바람 |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에 나서는 이화나비 | 퀴어팔레스타인연대QK48 | 팔레스타인과 연대하는 학생 공동행동 / Student Coalition for Palestine Korea | 팔레스타인문화연대 | 팔레스타인 평화연대 | 플랫폼 C | 한베평화재단 | 해방을 꿈꾸는 씨네클럽 | Decolonizing Korean Studies Collective

참여 과학기술인 121명과 참여 시민 410명 일동. (상세 명단은 팔레스타인평화연대 홈페이지 참조)

시민건강연구소 정기 후원을 하기 어려운 분들도 소액 결제로 일시 후원이 가능합니다.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