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미나

2014 어린이 건강과 지역사회 세미나 참가자 모집

1,506회 조회됨

  1. 제안배경

우리 연구소에서는 2012년부터 CHI기금의 지원을 받아 아동건강권 사업을 진행해왔습니다. 아동건강권 사업을 시작할 당시, 어린이 또는 어린이 건강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토의하면서 그 중 어린이를 권리 주체로 보는 인식을 토대로 삼았습니다. 또한 이를 위해서는 어린이들이 살아가고 있는 지역사회에서 실천 활동을 통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판단했습니다. 그 후 지금까지 천안지역에서 ‘아동건강네트워크’라는 지역조직에 참여하면서 연구과정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그 간의 경험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기존의 연구 성과나 정책, 활동경험과 연계하여 재해석해보면서 방향을 바르게 잡아가야 할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배경에서 ‘어린이 건강과 지역사회’라는 주제로 정기적인 세미나 자리를 마련합니다. 평소에 어린이들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과 성장에 관심을 갖고 계신 연구자 및 활동가들과 서로 배우고 활발한 토론을 하고자 합니다. 어린이 건강에 대한 인식이 더욱 확장될 수 있는 자리가 될 것으로 기대해봅니다.

(#  CHI 기금(Child Health Initative 연구기금): 2012년, 익명의 기부자가 시민건강증진연구소의 어린이 건강권 연구/활동에 대한 지지를 보내며 연구비를 지원함으로써 만들어진 기금입니다)

  1. 진행방식

일시: 격주 목요일 오전 10시-12시 (2014년 10월16일 – 2015년 1월22일, 8회)

♣ 10/16, 10/30, 11/13, 11/27, 12/11, 12,18, 1/8, 1/22 ♣

장소: 시민건강증진연구소 세미나실

코디네이터: 서상희, 전경자

참가비용: 무료 (시민건강증진연구소 회원가입)

인원: 15명 이내(성실 참여 필수)

신청: 신청하기 클릭

문의: 서상희 phikorea@gmail.com T. 070-8658-1848

주요 학습 내용:

  1. 학습내용

3.1 어린이를 바라보는 관점

Rittelmeyer, Christian, 송순재와 권순주. 아이들이 위험하다. 서울: 이매진, 2010.

정기섭. “야누스 코르작 (Janusz Korczak) 의 교육사상.” 교육철학연구 24, no. – (2000): 93–113.

최영, 박순우. “사회투자전략으로서의 아동정책의 변화 양상.” 아동과 권리 11, no. 4 (2007): 579–611.

김명희, 전경자, 서상희. “아동기의 건강불평등.” 보건복지포럼 176, no. – (2011): 32–44.

3.2 어린이의 삶

Lareau, Annette, and 박상은. 불평등한 어린 시절. 서울: 에코리브르, 2012.

이봉주, 김선숙, 안재진, Joan Yoo. 한국 아동의 삶의 질에 관한 종합지수 연구. 세이브더칠드런 연구보고서. 2013

UNICEF (2014). The State of the World’s Children 2014 In Numbers: Every

Child Counts. Unicef. http://www.unicef.org/sowc2014/numbers/

Siddiqi. A., Irwin, L. G., Hertzman, C., 2007, Total Environment Assessment Model for Early Child Development. Evidence Report for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s

Commission on th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WHO.

3.3 어린이를 위한 건강·복지 정책

Robert Wood Johnson Foundation. ISSUE BRIEF: Eearly Childhood Experience Shape Health and Well-being Throughout Life. 2014 August

전진아, 오혜인. “한국의 아동정책 지표.” 보건복지포럼 207, no. – (2014): 83–97.

이옥. “아동중심 아동지표 연구.” 아동과 권리 17, no. 1 (2013): 55–78.

권세원. 건강불평등 완화를 위한 어린이 대상 사회서비스 분석. 시민건강증진연구소 2013 영펠로우 연구보고서.

박태정, 박형원, and 이희연. “지역아동센터는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가? -지역아동센터의 운영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아동복지학 33, no. – (2010): 75–109.

김경희, 강미경, 노혜련. “강점관점 사례관리의 적용과 성과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7, no. 2 (2013): 175–203.

3.4 어린이가 건강하게 살 수 있는 지역사회란?

송준규. “부모됨·이웃됨·시민됨.”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문재현, 신동명, 김수동. 아이들을 살리는 동네. 서울: 살림터, 2013.

김소희. “작은 도서관 운동의 마을만들기적 성격에 관한 연구.” 성공회대학교, 2008.

기영화, 김승현, 김남숙. “성미산 지역공동체 커뮤니티웰빙의 패러다임 모형분석: Strauss와 Corbin의 근거이론.” 韓國行政學報 47, no. 1 (2013): 295–320.

김경근, 김정숙, 성열관.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의 지역사회 네트워크 특징 분석.” 敎育學硏究 48, no. 1 (2010): 53–81.

3.5  어린이 건강을 위한 지역사회 연구

Fine, Gray Alan, Kent L Sandstrom, 이명선, 조결자, 김원옥, 강현숙, 오상은, 아동들의 세계 알아가기. 서울: 군자출판사, 2010.

정은지. “조손가정에 대한 생애사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2.

박혜신. “빈곤가족의 빈곤문화:빈곤가족의 가족사와 빈곤가족 아동의 생애사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2003.

조성자. “심층인터뷰와 참여관찰을 통한 초등학교 아동의 여가 활용에 관한 연구.” 아주대학교, 2008.

Castro, Dina C., Margaret Samuels, and Ann E. Harman. “Growing Healthy Kids: A Community Garden-Based Obesity Prevention Program.”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44, no. 3 Suppl 3 (March 2013): S193–99.

3.6  비판적 관점에서 본 어린이, 지역사회, 보건

 

시민건강연구소 정기 후원을 하기 어려운 분들도 소액 결제로 일시 후원이 가능합니다.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