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동안 우리 연구소에서 연구하고 회원들과 함께 공부했던 내용들을 온라인으로 공유하고자 합니다. 학생/연구자나 시민사회단체 활동가들이 이 주제에 관심을 가지고 처음 발을 내딛을 때 참고하면 도움이 될 만한 자료들을 모았습니다. 앞으로 주제 목록은 계속 늘려나갈 예정이며, 학생/연구자용과 시민/활동가용 두 가지 판으로 구분하여 게시하겠습니다.
———————————————————————————————–
1. 자료 선별의 기준
- 건강불평등 실태를 보여주는 개별 실증 연구보다는
- 건강불평등 연구의 이론/개념의 발전에서 중요한 기여를 했거나,
- 방법론적 표준을 제시했거나,
- 정책/실천적으로 디딤돌이 된 연구 소개
- 최신의 정보와 논의를 파악할 수 있는 온라인 자료원 소개
2. 문헌 자료
2.1. 건강불평등 연구의 역사적 발전
* 국내외 건강불평등 연구의 역사적 기원과 주요 흐름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는 문헌
- Macinko JA, Starfield B. Annotated bibliography on equity in health, 1980-2001. Int J Equity Health 2002;1:1. (바로가기)
- 리사 버크만, 이치로 가와치. 1장 사회역학의 역사 리사 버크만, 이치로 가와치 엮음. 신영전 등 옮김. 사회역학 한울아카데미 2003
- 강영호. 건강불평등 연구의 역사적 발전. 예방의학회지 2007;40(6):422-30. (바로가기)
* 현황 ‘기술’에만 그치는 기존 불평등 연구를 비판하며, 비판적 실재론 접근을 소개한 문헌
- Dunn JR. “Explanation”, philosophy and theory in health inequalities research: towards a critical realist approach. In: O’Campo P, Dunn JR eds. Rethinking social epidemiology: towards a science of change. Springer 2011
- Muntaner C. On the future of social epidemiology – a case for scientific realism. Am J Epidemiology 2013 (바로가기)
2.2. 건강불평등의 개념과 윤리적 측면
* 현재 통용되는 건강불평등/건강형평성의 개념을 제시하고, 윤리적 근거를 제시한 문헌
- Whitehead M. The concepts and principles of equity and health. Int J Health Serv 1992;22(3):429-45. (바로가기)
- Peter F, Evans T. Ethical dimensions of health equity. In: Evans T, Whitehead M, Diderichsen F, Bhuiya A, Wirth M, eds. Challenging inequities in health: from ethics to ac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바로가기)
- Sen A. Why health equity? Health Econ 2002;11(8):659-66 (바로가기)
- Ruger JP. Ethics of th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Lancet 2004;364(9439):1092-1097 (바로가기)
- 김창엽. 건강불평등을 어떻게 볼 것인가. 보건복지포럼. 2009;149:2-3. (바로가기)
2.3.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이해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개념과 주요 영역 소개
- Link BG, Phelan J. Social conditions as fundamental causes of disease.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1995;Spec No:80-94. (바로가기)
- Wilkinson R, Marmot R.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the Solid Facts. 2nd ed. WHO Europe (바로가기)
* 인구집단 전략의 개념과 타당성
- Rose G. Sick individuals and sick populations. Int J Epidemiol. 1985;14(1):32-8. (바로가기)
- 제프리 로즈 지음. 김명희 등 옮김. 예방의학의 전략. 한울아카데미 2010
*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사회생태적 ‘관점’과 ‘전반적 취약성’ 가설, 생물학적 체현 개념
- Cassel J. The contribution of the social environment to host resistance: the Fourth Wade Hampton Frost Lecture. Am J Epidemiol. 1976;104(2):107-23. (바로가기)
- Krieger N. Epidemiology and the web of causation: has anyone seen the spider? Soc Sci Med. 1994;39(7):887-903. (바로가기)
- Levins R, Lopez C. Toward an ecosocial view of health. Int J Health Serv. 1999;29(2):261-93. (바로가기)
- Karpati A, Galea S, Awerbuch T, Levins R. Variability and vulnerability at the ecological level: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th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Am J Public Health. 2002;92(11):1768-72. (바로가기)
- Krieger N. Embodiment: a conceptual glossary for epidemiology.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2005;59:350-355. (바로가기)
2.4. 건강불평등의 사회-생물학적 기전
* 생애과정 관점에 대한 전반적 소개
- Ben-Shlomo Y, Kuh D. A life course approach to chronic disease epidemiology: conceptual models, empirical challenges and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s. Int J Epidemiol. 2002;31(2):285-93. (바로가기)
* 건강불평등 주요 기전으로서의 스트레스 반응과 이항상성 부하 개념
- McEwen BS, Gianaros PJ. Central role of the brain in stress and adaptation: links to socioeconomic status, health, and disease. Ann N Y Acad Sci. 2010;1186:190-222. (바로가기)
2.5. 건강불평등의 측정
* 불평등 지표의 이론적 전제와 특성 소개
- Regidor E. Measures of health inequalities: part 1. JECH 2004;58;858-861 (바로가기)
- Regidor E. Measures of health inequalities: part 2. JECH 2004;58;900-903 (바로가기)
- Keppel K, Pamuk E, Lynch J, et al. Methodological issues in measuring health disparities. National Center for Health Statistics. Vital Health Stat 2005;2(141) (바로가기)
- Harper et al. Implicit value judgments in the measurement of health inequalities. The Milbank Quarterly 2010;88(1):4-29 (바로가기)
- 한국건강형평성학회 지음. 건강형평성 측정방법론. 한울아카데미 2008
* 지표 계산과 자료 제시 방법
- 통계 프로그램 코드 – 한국건강형평성학회 홈페이지 자료실 http://www.healthequity.or.kr/
- 미국 암 연구소가 개발한 건강 불평등 지표 계산용 소프트웨어 HD*Calc 소개와 다운로드(http://seer.cancer.gov/hdcalc/)
- WHO Global Health Observatory. Handbook on health inequality monitoring with a special focus on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바로가기)
2.6. 건강불평등 완화를 위한 중재
* 건강불평등 중재의 이론적 모형과 유형
- Diderichsen F, Evans T, Whitehead M. The social basis of disparities in health. In: Evans T, Whitehead M, Diderichsen F, Bhuiya A, Wirth M, eds. Challenging inequities in health: from ethics to ac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바로가기)
- Whitehead M. A typology of actions to tackle social inequalities in health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2007;61:473-478 (바로가기)
- Benach J, Malmusi D, Yasui Y, Martinez JM, Muntaner C. Beyond Rose’s strategies: a typology of scenarios of policy impact on population health and health inequalities. Int J Health Serv. 2011;41(1):1-9. (바로가기)
* 유럽의 건강불평등 중재 초기 논의와 경험 소개
- Whitehead M. Diffusion of ideas on social inequalities in health: a European perspective. Milbank Q 1998;76:469- 492. (바로가기)
- Mackenbach J, Bakker M, editors. Reducing Inequalities in Health: A European Perspective. London: Routeldge; 2002.
* 가장 포괄적이라고 알려진 영국 건강불평등 정책의 역사와 평가
- Oliver A. Reflections on the Development of Health Inequalities Policy in England Health Care Anal 2010;18:402-420 (바로가기)
- Fair Society Healthy Lives (the Marmot Review). Strategic Review of Health Inequalities in England post-2010 (바로가기)
- Bambra C, Smith KE, Garthwaite K, Joyce KE, Hunter DJ. A labour of Sisyphus? Public policy and health inequalities research from the Black and Acheson Reports to the Marmot Review.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2011;65:399-406. (바로가기)
- Mackenbach JP. Can we reduce health inequalities? An analysis of the English strategy (1997-2010)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2011;65:568e575 (바로가기)
* 세계보건기구의 건강불평등 대응 전략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위원회’ 최종보고서 – Commission on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Final Report. Closing the Gap in a Generation: Health Equity Through Action on th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Geneva: WHO, 2008. (바로가기)
- 위 보고서를 요약 소개한 논문 – Marmot M, Friel S, Bell R, Houweling TA, Taylor S. Closing the gap in a generation: health equity through action on th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Lancet. 2008;372(9650):1661-9. (바로가기)
- 위 보고서 소개와 논평 – Muntaner C, Sridharan S, Solar O, Benach J. Against unjust global distribution of power and money: the report of the WHO commission on th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global inequality and the future of public health policy. J Public Health Policy. 2009;30(2):163-75. (바로가기)
- WHO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메인페이지 http://www.who.int/social_determinants/en/
2.7. 국내 건강불평등 실태와 연구 현황, 정책에 대한 평가
- 대한의사협회지 2013년 56(3)호 특집 – 건강불평등 현황 (바로가기)
- 윤태호. 우리나라 건강불평등 해소를 위한 정책제안. 예방의학회지. 2007;40(6):447-453 (바로가기)
- Khang YH, Lee SI. Health inequalities policy in Korea: current status and future challenges. J Korean Med Sci 2012;27(Suppl):S33-S40. (바로가기)
- 김명희. 이주희. 한국의 건강형평정책의 현황과 과제. J Korean Med Assoc 2013;56(3):206-212 (바로가기)
.
2.8. 건강불평등 전반을 조망하고 연구 방법을 개괄하는 ‘교과서’에 해당하는 서적
- Evans T, Whitehead M, Diderichsen F, Bhuiya A, Wirth M, editors. Challenging Inequities in Health: From Ethics to Ac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 Bartley M. Health Inequality: An Introduction to Concepts, Theories, and Methods. Cambridge, U.K.: Polity; 2004.
- Graham H. Unequal Lives: Health and Socioeconomic Inequalities. New York: Open University Press; 2007.
- 리사 버크만, 이치로 가와치 엮음. 신영전 등 옮김. 사회역학 한울아카데미 2003
3. 온라인 정보
3.1. 건강불평등을 주제로 하는 국제 메일링리스트
- Equidad: 세계보건기구 미주본부 (PAHO)의 Equity, Health, & Human development 관심그룹 메일링 리스트 (연결)
- spiritof1848: 미국 공중보건협회 (APHA) 내 건강불평등 관심그룹 (the spirit of 1848)의 메일링 리스트 (연결)
- PoHG jicsmail: 영국의 건강 정치 연구자 네트워크 (Politics of Health group)의 메일링리스트 (연결)
3.2. 건강불평등 관련 정보 포털
- 세계보건기구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메인 http://www.who.int/social_determinants/en/
- 세계보건기구 미주본부 (WHO PAHO) 형평성리스트와 지식네트워크 포털 http://equity.bvsalud.org/
- 세계민중건강운동 (People’s health Movement) 홈페이지 http://www.phmovement.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