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래식 과학소설계 3대 천왕 중 한 명으로 꼽히는 아이작 아시모프가 1957년에 발표한 소설 〈벌거벗은 태양〉은 ‘솔라리아’라는 행성을 배경으로 한다. 행성의 총인구는 2만명으로 엄격하게 통제되며, 개인들은 각자의 거대한 영지에서 홀로 혹은 배우자와 함께 살아간다. 이렇게 적은 인구로도 행성 사회가 유지될 수 있는 것은 로봇 덕분이다. 인간은 예술과 학문 같은 고차원적 정신활동에 집중하고, 모든 노동은 로봇이 도맡는다. 인간 한 명이 로봇 약 1000개를 거느리기에 가능한 일이다. 아주 예전에 이 소설을 읽었을 때는 무인 자동차, 홀로그램, 인공지능의 모습을 그려낸 상상력, 인간과 휴머노이드 로봇 탐정 콤비의 모험담에 마음을 빼앗겼다. 그러나 이 중 일부는 이미 현실이 되었고, 나머지도 SF 영화의 흔한 요소가 되었기에 오늘날 독자들이 특별한 매력을 느끼기는 어려울 것이다.
한참이나 잊고 있었던 이 소설을 다시 떠올린 것은 코로나19 탓이다. 솔라리아 행성은 독특한 곳이었다. 이곳에서 인간은 출생 직후부터 다른 사람과의 직접적 접촉을 피하도록 계도된다. 타인과 홀로그램을 통해 의사소통하고(이를 ‘조망하기· viewing’로 표현했다), 직접 만나는 일(‘보기·seeing’)은 극도로 제한된다. 사람을 직접 만나지 않는 이유는 질병이 전파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전통적인 방식의 임신은 모두가 꺼리는 더러운 일로 여겨지고, 환자와의 대면 접촉을 피할 수 없는 의사는 직업적 단련을 필요로 한다. 심지어 소설 속 살인 용의자는 형사가 자신을 체포하러 찾아오자 (사실은 휴머노이드 로봇이었음에도) 타인과의 접촉이 두려워 스스로 목숨을 끊는다.
…….
(시사인 제 666호 기사 바로가기)
시민건강연구소 김명희 상임연구원이 시사주간지 “시사IN” 에 3월부터 새 연재코너 [김명희의 건강정치노트] 를 시작했습니다. 더 많은 회원들과 함께 나누고자 연재를 소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