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리풀연구통

서리풀연구통

감정노동과 산재 사각지대, 성 주류화가 필요한 이유

  느린 발걸음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여성 노동자는 남성에 비해 낮은 임금을 받을 가능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여성 비중이 높은 직업군 자체가 구조적으로 저평가되고 있다. 간호, 요양, 사회복지 서비스, 승무원,[…]

추천 글

서리풀연구통

최저임금이 건강한 일터를 만들려면

  최강우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제21대 대통령이 선출되었다. 대선 레이스가 펼쳐지는 동안 후보들의 말 한 마디 한 마디가 매일의 헤드라인이었다. 그리고 단연 많은 사람들의 최대 관심사는 “경제”였다. 어떤 후보가 숨[…]

추천 글

서리풀연구통

ADHD, 조기 진단만이 능사일까?

정신의학이 놓친 시간, 그들이 살아낸 통찰의 시간   권정은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최근 들어 주의력결핍 과다행동장애(ADHD)의 진단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관련기사: 바로가기1, 바로가기2). 한편에서는 급격한 수요 증가로 ADHD 치료제 공급 부족[…]

추천 글

서리풀연구통

노년의 노동, 죽음에 더 가깝다

-고령노동자의 산업재해 사망에 대한 연구-   최보경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좀처럼 받아들이기 어려운 말, ‘일하다 죽는다.’ 여전히 하루도 빠짐없이 일하다 다치거나 숨지는 노동자에 대한 기사를 마주하고 있다. 고용노동부가 지난 4월[…]

추천 글

서리풀연구통

환자 관점에서 환자 ‘중심’ 병원이란?

  권시정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종합병원을 홍보하는 문구 중 ‘환자 중심 의료’, ‘환자 중심 병원’이라는 말을 한 번쯤 접해본 적이 있을 것이다. 다음은 한 민간 종합병원의 홍보 자료에서 가져온 단어들이다.[…]

추천 글

서리풀연구통

과도한 영리추구 행태를 통제하는 실손보험 개혁이 필요하다

  김영수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2000년대 초반에 도입된 실손의료보험은 국민건강보험을 보완한다는 취지로 도입되었지만, 비급여 의료의 과잉공급, 의료이용의 증가로 인한 국민건강보험의 부담증가, 의료공급자의 비급여시장 쏠림 현상 등 다양한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다.[…]

추천 글

서리풀연구통

국경 안의 식민지: 팔레스타인인의 건강을 파괴하는 이스라엘의 구조적‧인종주의적 폭력

  김지민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팔레스타인 민중들은 한 세기 이상 식량난, 점령과 박탈, 학살의 재앙을 견디고 있다. 최근 중재국이 제안한 향후 5년간 휴전안에 대해 팔레스타인의 하마스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지만, 이스라엘은[…]

추천 글

서리풀연구통

장애인의 재난취약성: 구조적 불평등과 기후위기 속에서

  강의영 (시민건강연구소 영펠로우)   최근 몇 년간 발생한 재해들은 재난 피해가 사회의 구조적 불평등을 고스란히 반영한다는 사실을 일깨워준다. 2022년 8월의 집중호우는 여러 반지하 주택을 침수시켰고, 서울 신림동에서는 발달장애인 세[…]

추천 글

서리풀연구통

우리의 “건강” 정책을 수립하자!

                                                                              하지우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이번 계엄은 시민들이 위임한 권력을 민주적으로 통제하지 못했을 때 어떤 결과가 나타나는지 보여주었다. 건강 역시 마찬가지다. 건강하기 위해서는 우리를 둘러싼 조건, 권력, 구조와 이들이[…]

추천 글

서리풀연구통

정책은 구현되지 않는다: 영국 통합케어시스템 사례

  김찬기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지역의 정책 실무자로 일하다 보면 중앙정부를 향한 볼멘소리를 하게 되는 일이 많다. 중앙정부가 설계한 온갖 사업과 정책이 수렴하는 지역 현장은 상충하는 정책 논리가 파열음을 일으키는[…]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