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평

서리풀연구통

정신질환, 낙인을 찍는 언론과 걷어내는 언론

김정우(시민건강연구소 연구원)   최근 정신질환자에 대한 혐오가 부쩍 심해졌다. ‘정신병자’라는 단어가 남을 비하하는 용도로 쓰일 만큼, 정신질환자에 대한 혐오는 오래 되고 일상적인 것이지만, 최근 일어난 일련의 안타까운 사건들이 이를 더욱[…]

추천 글

외부 기고문

[고래가 그랬어: 건강한 건강수다] 미래를 위한 금요일

<어린이 교양잡지 “고래가 그랬어” 188호 ‘건강한 건강 수다’> 글: 박진욱 이모, 그림: 박요셉 삼촌 이모는 부자와 가난한 사람의 건강 수준이 왜 다르게 나타나는지, 그러한 차이를 없애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 공부하고[…]

추천 글

서리풀 논평

자본의 탐욕이 생명을 위협할 때

  극단까지 온 조짐인지, 이제는 이해하기 힘든 말들이 난무하기에 이르렀다. 통칭 ‘제약바이오’ 산업이라는 곳에서 벌어지는 일. 우연인지 필연인지 한꺼번에 이러기도 쉽지 않은데 비슷한 일이 쏟아진다.   “이우석 코오롱생명과학 대표는 기자간담회를[…]

추천 글

서리풀연구통

노동, 복지 수급의 전제 조건일 수 없다

  오로라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청년실업의 여파일까. ‘일하는’ 청년을 위한 정책들에 청년복지의 무게가 쏠리고 있다. 청년구직활동지원금, 취업성공패키지, 청년수당(서울시), 일하는 청년통장(경기도), 청년디딤돌카드(부산시). 모두 청년들의 구직 또는 근로 활동을 조건으로 현금이나 금융[…]

추천 글

서리풀 논평

30년 역사의 ‘전국민 건강보험’, 앞으로는?

  “7월 1일부터 도시지역 자영인들에게도 의료보험이 실시됨으로써 전국민 의료보험시대를 맞게 됐다. 또 이 때를 맞추어 지난해부터 농어촌지역 의료보험에만 실시돼 오던 병의원 이용체계(의료전달체계)가 전국민에게 적용돼 의료기관 이용에도 큰 변화를 맞게 됐다.”[…]

추천 글

서리풀연구통

기업의 이윤과 노동자의 안전, 양립 가능한가

  이주연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지난해 말, 김용균 노동자의 죽음을 계기로 28년 만에 산업안전보건법이 개정되었다. 그런데 불과 여섯 달 만에 산업재해 유가족들이 하위법령 개정안을 비판하며 제대로 된 개정을 호소하고 있다.[…]

추천 글

서리풀 논평

‘경제정치’와 ‘사회정치’가 더 중요하다

  청와대 정책실장과 경제수석이 갑자기 바뀌었다. 주류 언론의 피상적 관심은 참 한결같다. 이번에도 바꾼 이유나 배경을 두고 ‘아니면 말고’ 식으로 소설을 써냈지만, 우리의 관심은 좀 다르다.   언론과 비슷하게 인상[…]

추천 글

서리풀연구통

정부의 영리제약사 규제 발상은 순진했다

김 선 (시민건강연구소 연구원)   #1. “인보사 사태는 ‘스캔들’이고 ‘제2의 황우석 사태’”라는 시민사회단체의 주장에 어깃장을 놓을 사람은 더 이상 없다. “전혀 몰랐다”던 코오롱생명과학(이하 코오롱)의 주장은 거짓이었고, 허가 당시 제출한 자료는[…]

추천 글

외부 기고문

[시사IN:김명희의 건강정치노트] 주치의 제도 도입 하루가 급하다

  얼마 전 의대 재학 시절의 친구들을 만났다. 안부를 묻는 친구에게 내가 답했다. “내가 너한테 전화 안 하면 우리 집에 별일 없는 거야. 그동안 모처럼 평화로웠다는 뜻이지!” 풀이하면 이렇다. 그[…]

추천 글

서리풀 논평

큰 병원으로만 몰리는 환자들, 무엇이 문제인가

  큰 병원으로 환자가 더 몰린다고 의료계가 시끄럽다. ‘문재인 케어’ 때문에 그렇다는 주장부터 터질 것이 터졌다는 의견까지 분석과 진단은 다양하지만, 상황이 점점 더 나빠진다는 상황 인식은 같다.   이 문제를[…]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