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 기고문

[한국일보: 논담] “전면폐쇄 같은 극단적 방역대책은 반드시 부작용 초래”

585회 조회됨

김창엽(시민건강연구소 소장,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

 

지난해 말 중국 후베이성 우한에서 전파가 시작돼 국내에 첫 환자가 보고된 지난달 20일 이후 한국 사회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공포에 휩싸였다. 초기 방역에 실패해 186명의 환자와 38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2015년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ㆍMERS)의 생생한 기억은 선제적 방역 대책을 주문하는 여론을 만들었다. 정부는 사상 처음으로 방역을 위해 외국인 입국금지 조치를 내렸다. 환자가 지나간 식당, 상점, 백화점, 극장은 문을 닫고 사람들은 대외활동을 최소화하는 등 사회 전체가 꽁꽁 얼어붙었다. 다행히도 국내 확진자 대부분 경증이고 전파속도도 둔화하면서 ‘제2의 메르스 사태’는 재연되지 않는 분위기다. 메르스 사태 이후 우리 사회의 방역시스템은 그만큼 탄탄해진 것일까. 강력하고 선제적인 대응의 부작용은 없는 것일까. 서울대 의대(의료관리학ㆍ1993~2002년) 교수를 거쳐 참여정부 시절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심사원장(2006~2008년) 등을 역임한 진보 성향의 공공보건학 전문가 김창엽(60)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를 10일 연구실에서 만나 우리 방역시스템의 현주소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들어보았다.

_먼저 메르스 때와 이번 코로나19 대응을 비교해 보는 게 좋을 것 같다.

………………

 

(한국일보 2020.02.13. 기사 바로가기)

 

시민건강연구소 정기 후원을 하기 어려운 분들도 소액 결제로 일시 후원이 가능합니다.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