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 기고문

[시사IN:김명희의 건강정치노트] 노동자 존중은 없고, ‘코로나 전사’ 영웅주의만

285회 조회됨

감염병 위기 상황에서 보건의료기관은 치료와 돌봄의 공간이지만 동시에 ‘위험의 공간’이기도 하다. 2002~2003년 사스(SARS) 유행 당시, 전 세계 감염 확진자의 약 21%가 보건의료 종사자였으며, 캐나다는 그 비중이 43%나 되었다. 2015년 국내 메르스 감염자의 약 21.5%도 보건의료 종사자였다. 코로나19 유행 초기 폭발적으로 환자가 발생했던 해외에서 이러한 상황은 반복되었다. 영국과 미국의 공동연구에서 보건의료 노동자의 코로나19 감염 확률은 일반 시민들에 비해 11.6배나 높았다. 런던의 한 병원에서 시행한 항체검사에서 보건의료 종사자의 31.6%가 양성을 보였고,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지난 4월 초까지의 감염자 직업 통계를 살펴본 결과 19%가 보건의료 종사자였다. 국내에서는 코로나19 유행 초기부터 선별진료소를 운영하여 보건의료 종사자들의 무차별 감염을 막을 수 있었지만 지역사회 감염이 폭증하면 상황은 달라질 것이다.

 

■ 코로나 전담 간호사는 왜 수세미를 떴을까

보건의료 현장은 여느 작업장과는 다른 특징이 있다. 만일 공장이나 콜센터에서 집단감염이 일어난다면 당장 작업을 중지하고 일정 기간 작업장을 폐쇄한 다음, 노동자들을 격리하거나 재택근무로 전환한다. 불편함과 경제적 손해가 뒤따르지만 어쩔 수 없다 생각하고 받아들인다. 하지만 보건의료 현장은 다르다. 병원에 감염병이 집단 발병했다고 해서 당장 작업을 중지할 순 없다. 작업장을 전면 폐쇄할 수도, 노동자들을 모두 집으로 돌려보낼 수도 없다. 그곳에 사람이, 돌봄을 필요로 하는 환자들이 있기 때문이다.

………………..

(시사인 690호 기사 바로가기)


시민건강연구소 김명희 전 상임연구원이 시사주간지 “시사IN” 에 2019년 3월부터 새 연재코너 [김명희의 건강정치노트] 를 시작했습니다. 더 많은 회원들과 함께 나누고자 연재를 소개합니다. 


 

시민건강연구소 정기 후원을 하기 어려운 분들도 소액 결제로 일시 후원이 가능합니다.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