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리풀 연구通] 투표 접근성 보장해야 윤창교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평창동계올림픽부터 두 차례의 남북정상회담에 이르기까지,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 정세의 흐름이 예사롭지 않다. 하루가 다르게 바뀌는 북한과 미국 사이의 말들에 모든[…]
서리풀연구통
우린 ‘기술 기반 성폭력’에 노출돼 있다
우린 ‘기술 기반 성폭력’에 노출돼 있다 [서리풀 연구通] ‘디지털 성폭력’ 적극 대처해야 팥수수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최근 한 미술대학에서 남성누드모델의 나체 사진이 불법 촬영되어 인터넷 커뮤니티에 공유되는 범죄[…]
추천 글
지방 소멸은 건강 문제다
[서리풀 연구通] 지방 소멸은 건강 문제다 민동후 시민건강연구소 영펠로우 지난 2016년 한국 고용정보원에서 ‘한국의 지방 소멸에 관한 7가지 분석’이란 제목의 보고서를 발간했다. 이 보고서에 의하면 인구 구조를 고려하였을 때[…]
추천 글
인공관절과 할머니들의 봄날
[서리풀 연구通] <엄마의 봄날>은 과연 할머니의 희망일까? 류한소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며칠 전 영암에서 일어난 교통사고로 같은 마을 주민 14명이 사망하거나 크게 다치는 비극적 사건이 벌어졌다. 희생자는 대부분[…]
추천 글
코카콜라가 세상을 지배하는 방법
코카콜라가 세상을 지배하는 방법 [서리풀 연구通] 기업과 학문의 위험한 거래 이주연 (시민건강연구소 연구원) 비만의 중요한 원인인 ‘청량음료 섭취’를 줄이기 위해 여러 나라들이 분주히 움직이고 있다. ‘설탕세’ 도입이 대표적이다.[…]
추천 글
성 평등이 건강 사회로 이끈다
독박육아, 여성 건강권은 어디로? [서리풀 연구통] 성 평등이 건강 사회로 이끈다 조효진 시민건강증진연구소 회원 직장에서 퇴근할 때에는 ‘먼저 가서 미안하다’, 어린이집에 아이를 데리러 갈 때는 ‘늦게 와서 미안하다’, 아이에게는 ‘늦게[…]
추천 글
과학의 이름으로 차별 재생산하기
[서리풀연구통] 과학의 이름으로 차별 재생산하기 김성이(시민건강연구소 연구원) 역사적으로 과학은 잘못된 믿음과 우상을 파괴하는 역할을 해왔다. 지구가 태양 주위를 돈다, 인간은 진화의 산물이다, 이런 것들이 대표적 사례이다. 물론 그렇지 않은[…]
추천 글
[수정] 손석희의 푸념은 옳았을까?
손석희의 푸념은 옳았을까? [서리풀연구통] 한국이 환경 피해자라고? 연두 (시민건강증진연구소 회원) 한반도의 미세먼지가 언제부터 이렇게 심각한 수준이었는지 확실하지 않다. 그러나 어느덧 미세먼지 예보와 그 건강 피해는 매우 중요한[…]
추천 글
또 다른 차별, 질병력
또 다른 차별, 질병력 [서리풀연구통] 질병 기록으로 인한 차별, 사라져야 두레 시민건강증진연구소 회원 국내 건강보험 정책에서 보장성 강화의 주요 잣대 중 하나는 “암”과 관련된 본인부담금이다. 많은 나라에서 “암과의 전쟁”이라고[…]
추천 글
암환자가 호스피스를 꺼린 까닭
암환자가 호스피스를 꺼린 까닭 [서리풀연구통] 의료 이용 결정에 영향 미치는 복잡한 요인들 김정우 (시민건강증진연구소 회원) 환자가 회복을 위한 치료를 그만두고 병고를 덜어주는 케어에 집중하는 경우가 있다. 회복이 불가능하고 사망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