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리풀연구통

서리풀연구통

제도적 돌봄의 빈틈에서 발생하는 상상의 자기돌봄

  권정은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청년들의 우울과 불안 등 정신 건강을 지원하는 프로그램들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관련 기사: 바로가기). 이는 정신건강의학과가 진입장벽이 높거나, 보험 적용이 되지 않아 심리상담 서비스가 비용 부담스러웠던[…]

추천 글

서리풀연구통

보이지 않는 사람들의 이야기: 원격의료 기술 도입만으로 해결되지 않는 고통

  권시정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올해 2월 말, 전공의 집단사직 사태 이후 비대면진료의 허용 범위가 확대되었다. 초진 환자와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에서도 비대면진료가 가능해진 것이다. 4월부터는 ‘의료취약지’의 의료공백을 해소하겠다는 명분 하에서,[…]

추천 글

서리풀연구통

우리 지역의 병원이 없어진다면

  김찬기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지역 병원의 폐업이 반복되고 있다. 최근 경상남도 동부권에서만 종합병원 2개 기관이 문을 닫았다. 김해 중앙병원은 지역응급의료센터 운영 등 지역의 필수의료를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했으나 부실운영과 무리한[…]

추천 글

서리풀연구통

코로나19 시기, 비대면이 불가능했던 디지털 노동자들의 건강

  김지민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코로나19의 전 세계적인 유행 속에서 유행 초기에 많은 사회들이 대응에 어려움을 겪었다. 적절한 치료제와 백신이 개발되지 않았고, 마스크와 같은 개인보호장구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와중에, 이 새로운[…]

추천 글

서리풀연구통

청소년 교제폭력 예방을 위해 어른들은 무얼 해야 하나

  박주영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 말할 수 없는 비밀, 드러낼 수 없는 피해   고등학교 2학년인 A는 남자친구의 욕설과 폭행을 참을 수 없어 이별을 통보했다. 그날 저녁 남자친구는 A에게[…]

추천 글

서리풀연구통

여성이주노동자의 노동환경과 건강

  김민경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여성이주노동자에 대한 관심은 책 <깻잎투쟁기>(우춘희, 2022)로부터 시작되었다. 대학에 들어간 후 전공보다 젠더 분야에 관심을 두고 공부했으나, 부끄럽게도 여성이주노동자에 대한 글이 마음에 와닿았던 적이 없다. 이주여성에[…]

추천 글

서리풀연구통

무엇이 질 좋은 노인 돌봄을 의미할까

  송경은 (시민건강연구소 영펠로우)   우리는 하루가 멀다고 요양서비스를 받는 노인들이 경험하는 불합리한 인권침해 이야기를 접하고 있다. 이는 한국만의 현상은 아닌 듯 하다. 전 세계적으로도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추천 글

서리풀연구통

계약직 이주노동 프로그램은 노동자에게 무엇을 주고, 무엇을 가져가는가?

  최강우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지난 6월 24일 경기도 화성시에 위치한 리튬 배터리 공장에서 화재가 발생해 23명의 노동자가 죽고 8명이 다쳤다(☞관련 기사: 바로가기). 사망자 중 18명은 이주노동자였다. 놀랍지 않은 일이다.[…]

추천 글

서리풀연구통

낙후된 지역에서 유방암이 늦게 진단되는 이유

  박은혜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아이구, 왜 이렇게 늦게 오셨어요!”   오렌지 껍질처럼 울퉁불퉁하고 딱딱해진 유방을 보고 교수님이 환자에게 물었다. 환자는 슬픈 눈으로 병원에 올 시간이 없었다고 답했다. 한눈에 암이[…]

추천 글

서리풀연구통

진료현장을 떠나겠다는 의사들의 진료 우선순위는 뭘까

  문주현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눈 한 번 마주치지 못한 채 처방전 써줬으니 이만 나가보란 말을 들으면 내가 과연 아이돌 팬미팅 현장에 와 있었는지 혼란스러워진다. 고작 감기를 가지고 왜 더[…]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