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리풀연구통

서리풀연구통

[서리풀연구통] ‘혼밥’은 공중보건의 문제다

[서리풀 연구통通] ‘혼밥’은 공중보건의 문제다 식사는 ‘열량 보충’만이 아니다   류한소 시민건강증진연구소 영펠로우   몇 달 전, 법무부 장관이 익명의 제보를 받았다고 밝히면서 ‘밥 총무’의 역할이 세간에 알려지게 되었다. 검찰의[…]

추천 글

서리풀연구통

[서리풀연구통] 그들은 왜 산업재해에 더 취약한가?

[서리풀 연구通]  그들은 왜 산업재해에 더 취약한가? “노동자가 ‘안전’을 활발히 이야기할 수 있어야” 조효진 시민건강증진연구소 회원   한국의 산업재해(산재) 사망률이 OECD 회원국들 중 1~2위를 다툰 지가 벌써 10년이 넘는다. 지난해에도[…]

추천 글

서리풀연구통

지역 간 건강 불평등의 정치경제적 뿌리

[서리풀 연구통] 지역 간 건강 불평등의 정치경제적 뿌리   이주연 시민건강증진연구소 연구원   사회적으로 건강불평등이 처음 문제되었을 때, 사람들은 그 원인을 술, 담배, 건강하지 못한 식생활 등 개인의 생활습관 차이에서 찾으려[…]

추천 글

서리풀연구통

‘현대판 민며느리’의 비극, 재발 막아야

  [서리풀 연구통] ‘현대판 민며느리’의 비극, 재발 막아야   김성이 시민건강증진연구소 연구원   여중생 딸의 친구를 살해하고 후원금을 가로챈 혐의 등으로 이영학에 대한 재판이 진행 중이다. 이 과정에서 피고인이 딸에게도[…]

추천 글

서리풀연구통

음주 강권, 생명 끊을 수 있다

  [서리풀 연구통] 음주 강권, 생명 끊을 수 있다   연두 시민건강증진연구소 회원   탄핵, 대선, 북핵 위기, 지진, 무엇, 그리고 또 무엇.   숨 돌릴 새 없이 사건사고가 일어났던[…]

추천 글

서리풀연구통

아동의 삶에 새겨진 지진의 상흔

수능 무사히 치렀다고 안심할 일 아니다 [서리풀 연구통] 아동의 삶에 새겨진 지진의 상흔 두레 시민건강증진연구소 회원   올해도 어김없이 11월 15일 ‘수능 한파’가 예고돼 있었다. 그런데 이날 저녁 상상도 못할[…]

추천 글

서리풀연구통

약자에게 더 가혹한 재난, 처방은?

약자에게 더 가혹한 재난, 처방은? [서리풀 연구통通] 재난 이후 ‘연대’가 노인 인지능력 저하 막는다 김새롬 (시민건강증진연구소 연구원)   지난 15일 포항에서 발생한 지진 피해를 복구하기 위한 노력이 한창이다. 정부는 특별재난지역으로[…]

추천 글

서리풀연구통

부동산 정책은 건강 정책이다

집값 상승, 세입자 건강에 해롭다 [서리풀 연구通] “부동산 정책은 건강 정책이다” 김 정 우 (시민건강증진연구소 회원) 6.19 부동산 대책, 8.2 부동산 대책, 10.24 가계부채 종합대책. 새 정부가 들어서고 나서 반[…]

추천 글

서리풀연구통

노르웨이의 임신중절 진료 행태, 완전히 바뀐 까닭?

[서리풀연구통通] 임신중절, 내과적 방법을 허하라   김명희 (시민건강증진연구소 연구원)   “낙태죄 폐지와 자연유산 유도약 합법화 및 도입”을 촉구하는 청와대 국민청원에 10월 한 달 동안 23만5372명이 참여했다. 청와대는 30일 동안 20만[…]

추천 글

서리풀연구통

비만 담론은 과연 건강한가?

[서리풀 연구통] 비만 담론은 과연 건강한가?   오로라 시민건강증진연구소 회원 작년 말부터 건강보험공단에서는 <비만백서>를 펴내기 시작했다. 다른 건강문제를 제치고 비만에 한정한 백서라니 비만이 얼마나 중요한 문제로 여겨지는지 알 수 있다.[…]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