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건강증진연구소의 6월 이슈페이퍼입니다. 파일을 첨부합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제주 4.3 사건을 통해 본 국가폭력과 건강피해> 요약 역사적으로 국가폭력은 많은 죽음으로 귀결되었으며 유형을 달리하며 지속중인 국가폭력은 현재까지도 죽음, 신체적 건강의[…]
자료실
[PHI Young Fellow Research Report]시민과학연대를 통한 1990년대 여성 노동안전보건운동
2012년도 시민건강증진연구소 영펠로우인 김향수 선생님의 연구보고서입니다. 파일 용량 관계로 보고서 전문을 올리지 못했습니다. 보고서가 필요한 분은 연구소로 문의바랍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시민과학연대를 통한 1990년대 여성 노동안전보건운동 -시민건강증진연구소[…]
추천 글
[시민건강이슈-05] 국민안전과 규제완화, 양립불가능한 정책지향을 반대한다
2013년 5월의 이슈페이퍼입니다. 이번 이슈페이퍼는 사회공공연구소와 시민건강증진연구소가 함께 기획, 발간하였습니다. PDF파일을 함께 첨부합니다. 많은 관심과 공유 부탁드립니다. ———————————————————————————– 박근혜 정부는 ‘국민 안전’을 그 어느 때보다 강조한다.[…]
추천 글
[PHI Research Report 2013-01] 내가 만드는 건강공약 연구 보고서
지난 2012년 건강정책연구센터의 프로젝트인 ‘2012 내가 만드는 건강공약’ 최종 보고서가 출간되었습니다. 요약본을 올리고, 최종 보고서를 첨부합니다. 앞으로도 시민건강증진연구소의 연구활동에 많은 참여와 관심 부탁드립니다. 2012 내가 만드는 건강공약-시민참여정책결정의 가능성과 한계[…]
추천 글
[논문소식] 남편의 실업이 아내의 주관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어색한 한글제목을 보면 아시겠지만, 영어 논문입니다. 시민건강증진연구소의 김명희 상임연구원이 공저자로 집필한 ‘Effect of Husbands’ Employment Status on Their Wives’ Subjective Well-being in Korea’이 사회과학계 유수의 저널인 ‘The Marriage and Family’의[…]
추천 글
[좋은 책 소개] 도시에서 죽는다는 것
연구소의 김형숙 회원이 간호사로 일하시면서 겪으신 경험을 바탕으로 집필한, 삶과 죽음에 대한 깊은 통찰을 보여주는 책입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다음은 한겨레 서평입니다. http://www.hani.co.kr/arti/culture/book/565489.html 악담이 아니다.[…]
추천 글
[대한산업보건협회 우수논문상 수상] THE “CHAIR CAMPAIGN” IN KOREA
연구소의 김명희 선생님이 공동저자(김신범/정진주/정민정/김명희/이윤근)로 참여하신 논문이 12월 11일 대한산업보건협회 우수 논문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상금 중 100만원은 인권센터 건립을 위한 기부금으로 전달되었습니다. 냉철한 이성과 따뜻한 감성으로 한결같이 노동자 건강 연구에 매진하시는 김명희[…]
추천 글
[시민건강이슈-11/12] 쪽방주민의 건강과 삶으로부터 배운다
012년 초 서울시 동자동 지역의 쪽방 주민들은 주민 회의를 통해 ‘건강한 마을 만들기’ 첫 단계 사업으로 동자동의 건강권 실태조사를 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건강세상네트워크, 동자동 사랑방, 사랑방마을공제협동조합,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이 함께 7월부터[…]
추천 글
[시민건강이슈-11/12] 쪽방주민의 건강과 삶으로부터 배운다
PHI_issue_201212 2012년 초 서울시 동자동 지역의 쪽방 주민들은 주민 회의를 통해 ‘건강한 마을 만들기’ 첫 단계 사업으로 동자동의 건강권 실태조사를 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건강세상네트워크, 동자동 사랑방, 사랑방마을공제협동조합,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이 함께[…]
추천 글
[시민건강이슈-10]’2012 내가 만드는 건강공약’ 시민참여형 정책생산의 가능성을 보다
10월 13일, 시민들이 직접 대선 건강 공약들을 제안하고 토론하는 ‘2012 내가 만드는 건강공약’ 행사가 열렸다. 건강세상네트워크와 시민건강증진연구소, 서울대 보건대학원이 공동 주관한 본 행사에는 공개 모집을 통해 전국에서 모인 39명의 시민들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