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평

서리풀연구통

[수정] 손석희의 푸념은 옳았을까?

손석희의 푸념은 옳았을까? [서리풀연구통] 한국이 환경 피해자라고?   연두 (시민건강증진연구소 회원)     한반도의 미세먼지가 언제부터 이렇게 심각한 수준이었는지 확실하지 않다. 그러나 어느덧 미세먼지 예보와 그 건강 피해는 매우 중요한[…]

추천 글

서리풀 논평

이대목동병원 사건이 ‘일벌백계’가 되려면

[서리풀논평] 이대목동병원 사건이 ‘일벌백계’가 되려면   대학병원 중환자실에서 신생아 네 명이 숨진 사건이 있었으니, 그냥 넘어갈 수 있는 일은 아니다. 누군가는 책임을 져야 하고, 그 때문에 지난주 의료진 3명이 구속되었다.[…]

추천 글

서리풀연구통

또 다른 차별, 질병력

또 다른 차별, 질병력 [서리풀연구통] 질병 기록으로 인한 차별, 사라져야    두레 시민건강증진연구소 회원   국내 건강보험 정책에서 보장성 강화의 주요 잣대 중 하나는 “암”과 관련된 본인부담금이다. 많은 나라에서 “암과의 전쟁”이라고[…]

추천 글

서리풀 논평

’문재인 케어’의 성공과 정치

[서리풀논평] ’문재인 케어’의 성공과 정치     여기서 성공은 정부가 발표한 일정에 따라 미리 정한 목표를 달성해야 한다는 뜻이 아니다. 진행 과정에서 아무 말썽이 없어야 한다는 의미도 아니다. 정책이 성공한다는[…]

추천 글

서리풀연구통

암환자가 호스피스를 꺼린 까닭

암환자가 호스피스를 꺼린 까닭 [서리풀연구통] 의료 이용 결정에 영향 미치는 복잡한 요인들   김정우 (시민건강증진연구소 회원)   환자가 회복을 위한 치료를 그만두고 병고를 덜어주는 케어에 집중하는 경우가 있다. 회복이 불가능하고 사망에[…]

추천 글

외부 기고문

[공동논평] 대통령 개헌안에 관한 우리의 입장

우리 연구소는 대통령이 발의한 개헌안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논평을 발표했습니다 ===========================================================   [공동논평] 대통령 개헌안에 관한 우리의 입장     개헌 논의 과정에서 시민참여가 부족했던 점은 여전히 아쉽다.   2018년[…]

추천 글

서리풀 논평

의사(협회)의 정치, 시민의 정치

[서리풀 논평] 의사(협회)의 정치, 시민의 정치     투표 전에는 전혀 사회적 존재감이 없다가 끝난 후에 갑자기 불길처럼 관심 대상이 된 이상한(?) 선거. 관심 정도가 아니라 아예 ‘스캔들’로 비화할지도 모르겠다.[…]

추천 글

서리풀연구통

남자는 왜 여자보다 일찍 죽을까?

남자는 왜 여자보다 일찍 죽을까? [서리풀연구통] 유해한 남성성의 건강 비용   김 새 롬 (시민건강증진연구소 연구원)   “남자들은 별로 잘 살고 있지 않습니다. 우리는 죽이고 죽으라면서 그들을 전쟁터에 보냅니다. 그들은[…]

추천 글

서리풀 논평

보건과 의료는 (그리고 복지는) 성차별이 없나?

  [서리풀논평] 보건과 의료는 (그리고 복지는) 성차별이 없나?   최근 한국 사회를 뒤흔드는 미투의 배경에는 젠더의 권력 불균형이 존재한다. 사회적 지위, 연령, 부, 학력, 지역 등 다른 권력 불균형으로 환원되지[…]

추천 글

서리풀연구통

의료 재정 덜 쓰고, 국민 건강 지키는 비결?

의료 재정 덜 쓰고, 국민 건강 지키는 비결? [서리풀 연구통通] 의료 이외의 복지도 건강에 도움 된다 오로라 (시민건강증진연구소 회원)   전 세계적으로 의료비가 빠르게 늘어나는 중이다. 새로운 의료기술 도입, 인구[…]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