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김창엽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가 말하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 만드는 법 수도권에 새로운 거리두기 4단계가 시작됐다. 시내에는 인적이 줄었고, 열흘 전까지만 해도 북적였던 식당들이 한산하다. 7월 방역 완화를 통해[…]
논평
[포스트 코로나의 대안] 노숙인 주거권 보장이 코로나 확산막는 지름길
코로나19가 드러낸 홈리스 지원체계 재편의 필요성 이동현 (홈리스행동 상임활동가) ‘집에 머물라’, ‘잠시 멈춤’이란 말들로 권고되는 사회적 거리두기는 코로나 시기 새로운 생활 규범으로 자리 잡았다. 고립을 권하는 사회정책이 있었나 싶다가도,[…]
추천 글
[닷페이스:인터뷰] 건강보험료를 물려받은 사람들
사회변화를 위한 대안 미디어, ‘닷페이스‘가 청년들의 건강보험료 체납 문제를 짚는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연구소 김선 연구원도 건강세상네트워크 김재천 활동가와 함께 시리즈 2편 ‘건강보험료를 물려받은 사람들’에 인터뷰로 참여했습니다. 2016-2018년 연구소와 건강세상네트워크, 아름다운재단이[…]
추천 글
탈시설 장애인을 위한 지역사회의 준비는 어떻게?
김정욱(시민건강연구소 회원) 코로나19 이후 탈시설을 요구하는 장애인들의 목소리는 더욱 높아졌다. 기존의 장애인 탈시설 논의는 주로 시설의 비리와 횡포, 폭력·학대 문제, 인권 침해 등의 이슈들로부터 출발했는데, 코로나19 유행으로 집단[…]
추천 글
캐나다 선주민의 백신 주저 현상에 숨겨진 차별과 억압의 역사
두레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7월 1일은 캐나다의 건국 기념일인 ‘캐나다 데이(Canada day)’로, 캐나다에서 가장 성대하게 치러지는 공휴일이다. 한 국가의 생일인 만큼 캐나다 데이에는 도시 곳곳에서 기념행사가 장대하게 열리고 많은 이들이[…]
추천 글
[고래가 그랬어: 건강한 건강수다] 코로나19로 놓친 건 공부만이 아니었어!
<어린이 교양잡지 “고래가 그랬어” 212호 ‘건강한 건강수다’> 글: 류재인 고모, 그림: 박요셉 삼촌 안녕! 치과 고모야. 오늘은 코로나19로 우리가 놓친 것에 관해 이야기하려고 해. 작년보다 학교에 가서 직접[…]
추천 글
코로나와 원격수업과 ‘교육 빈곤’
수도권 거리두기 4단계가 시작됐다. 오는 수요일부터는 수도권 학교들도 전면 원격수업에 들어간다. 2학기 전면 등교 방안을 발표한 지 불과 한 달도 안 돼 상황이 역전됐다. 애초 교육부는 8월까지 고3, 대입[…]
추천 글
[포스트 코로나의 대안] 이주노동자 ‘투명인간’ 취급하는 한국, 코로나 방역⦁경제에 모두 걸림돌
이주노동자 돌봄 공백을 어떻게 줄일 것인가 고기복 ((사)모두를 위한 이주인권문화센터 대표) 코로나19가 증명한 것 코로나19 발발 이후 정부는 줄곧 법과 원칙, 절차에 따라 이주노동자를 비롯한 이주민 지원을 차별[…]
추천 글
주거비 지원정책은 주거비 부담도 낮추고 식품불안정도 해소한다
박금령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두 달 전, 서울시는 전국 최초로 부양의무자 기준을 폐지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관련 기사). 많은 취약계층들이 생계가 어려워 사회의 도움이 절실하게 필요했지만, 가족 등 부양의무를 진 이들에게 소득과[…]
추천 글
사라진 질병, 사라지지 못한 고통
그 많던 환자들이 사라졌다. 지난 4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 심평원)은 코로나19 초기 유행이 한창이던 작년 1월부터 9월까지 초과사망과 의료이용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관련 자료 바로가기). 같은 기간 응급실 방문 건수가 예측대비 약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