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글목록: 건강검진

서리풀연구통

건강검진, 간단하고 쉬운 것만이 최선일까

  박은혜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새해맞이 신년 계획으로 빠지지 않는 항목이 있다면, 바로 건강과 관련된 계획이다. ‘올해는 매일 30분 이상 운동을 하겠다. 술을 마시지 않겠다. 담배를 끊겠다. 건강한 식단으로 식사하겠다.[…]

추천 글

서리풀연구통

코로나19가 조기검진에 남긴 흔적

  박은혜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지진이 아니라 건물이 사람을 죽인다.”   팬데믹 시대를 지나면서 인상적으로 읽었던 존 머터의 <재난 불평등> 속 한 구절이다.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인종, 성별, 학력, 소득을 구분해서[…]

추천 글

서리풀연구통

건강검진 너머의 ‘건강 체계’를 실현하지 못한 이유

  김찬기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한국은 건강검진의 나라다. 몸에 무언가 이상을 느끼거나 의료 서비스를 받아야겠다는 필요가 있을 때 우리는 병원으로 가 각종 피검사와 영상 검사, 내시경 검사를 받는다. 검사 결과[…]

추천 글

외부 기고문

[시사IN:김명희의 건강정치노트] ‘묻지 마 건강검진’에 유전자 검사까지?

시민건강연구소 김명희 상임연구원이 시사주간지 “시사IN” 에 3월부터 새 연재코너 [김명희의 건강정치노트] 를 시작했습니다. 더 많은 회원들과 함께 나누고자 연재를 소개합니다.    하루는 부모님 댁에 갔더니 두꺼운 파일 뭉치를 내놓으면서 이게[…]

추천 글

외부 기고문

[고래가 그랬어: 건강한 건강수다] ‘아플 자유’가 있을까?

<어린이 교양잡지 “고래가 그랬어” 184호 ‘건강한 건강 수다’> 글: 류재인 고모, 그림: 박요셉 삼촌 류재인 고모는 동무들뿐 아니라 어른들도 무서워하는 치과에서 일하는 의사예요. 무시무시하다고요?   안녕, 동무들. 오랜만이지? 치과 고모야. 오늘은,[…]

추천 글

연구소 발간 자료

[카드뉴스] 건강검진은 어떻게 “산업”이 되었나?

  최근 발간한 연구보고서 [건강검진은 어떻게 “산업”이 되었나] 를 읽기 쉬운 카드뉴스 형태로 제작했습니다.  “바꿈, 세상을 바꾸는 꿈“에서 제작을 도와주었습니다.       널리 공유 부탁드립니다.

추천 글

연구보고서

PHI 연구보고서 2015-02 <건강검진은 어떻게 "산업"이 되었나>

작년 봄, 갑상선암 검진의 필요성, 효과성을 둘러싸고 사회적, 학술적 논란이 일었다. 갑상선 검진의 급격한 증가와 동반된 국내의 갑상선암 발생률 급증은 국제적으로도 큰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 그동안 ‘다다익선’으로 받아들여지며 확대일로에 있던[…]

추천 글

서리풀 논평

갑상선암 논란을 보는 시각

  갑상선암이 갑자기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런데 꽤 어렵고 혼란스럽다. 여러 언론이 설명하고 나섰지만 사정이 크게 나아진 것 같지 않다. 초점이 명확하지 않은 것이 혼란을 더한다. 논쟁을 한다고 하지만 서로[…]

추천 글

서리풀 논평

암의 위협, 더 생각할 것들

  바로 지난 화요일, 2월 4일은 세계 암의 날이었다. 세계보건기구가 주도해서 매년 기념도 하고 각오도 되새기는 날이다. 한국은 몇몇 언론이 스치듯이 다룬 것을 빼면 조용히 지나갔다. 그래도 언론이 이 정도라도[…]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