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이슈페이퍼

[시민건강이슈-09] 알코올 규제정책,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하다

      한국사회의 음주율은 70%가 넘는다.     대다수 성인이 술을 마시고 있고, 고위험 음주의 위험도 상당하다. 이미 새롭지도 않은 ‘주취 난동’은 ‘주폭’이라는 이름을 달고 새로운 사회문제가 되었다. 음주로 인한 사회적 비용은[…]

추천 글

이슈페이퍼

[시민건강이슈 2012-여름특집] 다같이, 쉬었다 가자!

뜨거운 여름이다. 바다로, 계곡으로, 누군가는 머나먼 이국으로 더위를 피해 떠나는 계절이다. 신문을 펼쳐도, 온라인 포털에 접속해도, TV를 틀어도, 온통 휴가, 여행, 보양식 이야기들이다. 때마침 런던 올림픽까지 맞아, 그야말로 대한민국이 들썩이고[…]

추천 글

이슈페이퍼

[시민건강이슈 2012-06] 장기요양보험제도, ‘국공립화’가 답이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는 고령화 사회에 대비한 사회적 안전망의 하나로 시작되었다. 정부는 새로운 사회서비스 시장을 통해 노인 인구의 삶의 질을 높이고, 좋은 일자리를 창출하여 경제도 살리겠다고 장담했다. 그러나 시행 4주년, 이러한 장담은 결코[…]

추천 글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건강서울 마스터플랜 수립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많은 사람들이 지방정부는 할 수 있는 일이 별로 없다고들 생각했다. 무늬만 지방자치제일 뿐, 중앙정부가 실질적으로 모든 권한을 행사한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최근 몇 년 동안 사람들은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추천 글

이슈페이퍼

[시민건강이슈 2012-05] 학생 전원 정신건강검사 실시를 바라보며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12년, 인생에서 가장 많은 것을 배우고 즐겁게 미래를 상상해야 할 시기. 현재 한국사회의 청소년들은 과연 무엇을 배우고 상상하고 있는가? 그들에게 주어진 것은 더 나은 미래를 위해 더 열심히[…]

추천 글

이슈페이퍼

[시민건강이슈 2012-04] 세계산재노동자 추모의 날을 맞아

한국사회에서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는 국민으로, 때로는 시민으로 호명된다. 만일 일을 하고 있다면 직장인, 혹은 근로자, 아주 가끔은 노동자로 호명되기도 한다. 이 두 가지 정체성은 서로를 배제하지 않는다. 하지만, 한국사회는 이[…]

추천 글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한국 국가 암 예방 및 관리 정책의 근본적 전환

작년 겨울부터 우리 연구소는 민주노총 금속노조의 의뢰로 <한국 국가 암 예방 및 관리 정책의 근본적 전환>이라는 주제로 연구를 해왔습니다. 2월 말에 종료된 과제의 최종 보고서 입니다.   <서문> 한국사회에서 시민[…]

추천 글

기타 자료

건강권 관련 신간 소개

최근 한 두달 동안 진보적 관점에서 건강 문제와 건강권 이슈를 탐구한 책들이 연달아 출간되어 알려드립니다.  1.  찰스 레벤스타인 엮음. 김명희 등 옮김 <노동자 건강의 정치경제학 2: 직업환경보건의 사회적 분석> 한울아카데미[…]

추천 글

연구소 발간 자료

[자료] 일차보건의료와 보건진료원 제도

  김창엽 소장의 연구보고서입니다.

추천 글

연구소 발간 자료

[논문] 건강과 복지: 권리와 사회정의의 관점에서 (김창엽)

  우리 연구소 김창엽 소장이 ‘경제논집'(제50권제3호)에 발표한 논문입니다. “건강과 복지: 권리와 사회정의의 관점에서”라는 논문입니다.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