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안 뜸했던 [시민건강이슈] 발간을 재개하게 되었습니다. 2016년 첫 이슈페이퍼는 ‘일차의료연구회’ 위원으로 일선 의료현장에서 활동중인 정명관 가정의학 전문의의 문제제기와 주장을 담고 있습니다. 환자의 보호자이자, 동네 의원 의사로서 필자가 그동안 경험하고[…]
자료실
[PHI Annual Report] 2015 시민건강실록
우리 시민건강증진연구소는 시민과 인권의 관점에서 매년 건강/보건의료 주요 이슈들을 돌아보고 정리하는 작업을 지속하기로 했습니다. ‘2015 시민건강실록’은 그 첫 작업의 결과물로서, 2015년 한해 있었던 건강/보건의료 관련 주요 이슈들을 주제별로 개괄하고 이에[…]
추천 글
[연구보고서] 인권 중심의 위기대응: 시민, 2015 메르스 유행을 말하다
지난 메르스 유행 과정에서 ‘공중’의 보호를 위해 많은 이들이 자신의 안전과 건강을 유보했고, 또 일부는 원하지 않는 위험과 차별, 배제, 프라이버시의 침해를 경험했습니다. 상황의 긴박함이라는 해명만으로는 충분치 않습니다. 만일 앞으로[…]
추천 글
[시민건강이슈 2015-03] 노숙인 의료제도의 현황과 문제점
지난 2014년 하반기에 갈 곳 없는 거리의 홈리스를 회유하여 요양환자로 둔갑시킨 후 의료급여진료비 청구를 통해 병원 수익을 올렸던 B병원을 비롯한 요양병원의 그릇된 행태에 대한 언론보도가 이어졌다. 홈리스 인권단체 등 시민사회단체에[…]
추천 글
[카드뉴스] 건강검진은 어떻게 “산업”이 되었나?
최근 발간한 연구보고서 [건강검진은 어떻게 “산업”이 되었나] 를 읽기 쉬운 카드뉴스 형태로 제작했습니다. “바꿈, 세상을 바꾸는 꿈“에서 제작을 도와주었습니다. 널리 공유 부탁드립니다.
추천 글
“한국의 건강불평등” 출판기념세미나가 성황리에 열렸습니다!
지난 금요일(18일) 저녁, 연구소 세미나실에서 열린 “한국의 건강불평등” 출판기념세미나가 성황리에 끝났습니다. 바쁘신데도 참석해 열띤 강의를 펼쳐 준 강연자 및 저자 분과 약 50분의 참석자 분들께 감사 인사 드립니다. […]
추천 글
PHI 연구보고서 2015-02 <건강검진은 어떻게 "산업"이 되었나>
작년 봄, 갑상선암 검진의 필요성, 효과성을 둘러싸고 사회적, 학술적 논란이 일었다. 갑상선 검진의 급격한 증가와 동반된 국내의 갑상선암 발생률 급증은 국제적으로도 큰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 그동안 ‘다다익선’으로 받아들여지며 확대일로에 있던[…]
추천 글
“한국의 건강불평등” 출판기념세미나: 한국사회 불평등,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우리 사회의 건강 불평등 현황을 진단하고 극복을 위한 연구/정책 방향을 토의한 “한국의 건강불평등” (김창엽, 김명희, 이태진, 손정인 공저.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이 출판되었습니다. 이를 계기로, 한국사회의 경제 불평등과 건강 불평등 문제를 함께[…]
추천 글
한국 보건의료부문의 근로시간 형태와 그 영향
2013년에 시민건강증진연구소가 진행했던 연구의 결과 보고서를 공개합니다. 이 연구는 국제노동기구 (ILO)의 발주에 의해 이루어진 것으로, ILO가 2015년에 발표한 워킹페이퍼 [The organization of working time and its effects in the[…]
추천 글
대안적 보건의료체계[학생/연구자용]
* 그동안 우리 연구소에서 연구하고 회원들과 함께 공부했던 내용들을 온라인으로 공유하고자 합니다. 학생/연구자나 시민사회단체 활동가들이 이 주제에 관심을 가지고 처음 발을 내딛을 때 참고하면 도움이 될 만한 자료들을 모았습니다. 앞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