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찬기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지역의 정책 실무자로 일하다 보면 중앙정부를 향한 볼멘소리를 하게 되는 일이 많다. 중앙정부가 설계한 온갖 사업과 정책이 수렴하는 지역 현장은 상충하는 정책 논리가 파열음을 일으키는[…]
논평
주거취약거처는 어떻게 건강을 해치는가
도시와 빈곤 130호(2025년 3월호): 쪽방, 고시원 등 주거취약거처 거주민의 주거권 지난 1월 4일, 서울에 소재한 고시원에 거주하던 20대 여성이 같은 고시원의 다른 방에 살던 40대 남성에게 살해되는 끔찍한 사건이[…]
추천 글
새로 바뀌는 세상에서 ’파면 불복‘을 용인해서 안 되는 이유
12월 3일 밤의 “비상계엄”은 해를 넘겨 4월 4일 “대통령 윤석열 파면” 선고로 일단락되었다. 그 123일은 광장에서 부른 노래 한 구절처럼 각자의 시간과 현대사에 되돌릴 수 없는 “한 페이지가” 되었다. […]
추천 글
윤석열을 파면했다, 가자! 평등으로
– 윤석열 파면시킨 우리의 힘이 우리의 미래 – 긴긴 불면의 밤이 끝났다. 윤석열이 내란을 시도한 날로부터 그가 대통령이 아님을 확인하기까지 넉 달이 흘렀다. 뒤척이던 122번의 밤을 지나 드디어 민주주의의 새벽을[…]
추천 글
성소수자에 대한 부정적인 언론 보도를 멈춰야 하는 이유
이혜민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2020년 5월, 서울 이태원에 위치한 한 클럽에서 시작된 코로나19 집단감염을 이유로 성소수자에 대한 혐오와 낙인을 찍는 언론 보도가 잇따랐다. 불과 5년 전의 일이다. 확진자가 방문했던[…]
추천 글
[고래가 그랬어: 건강한 건강수다] 병원에 가기 어려울 때 진료받을 방법은 없을까요?①
<어린이 교양잡지 “고래가 그랬어” 253호 ‘건강한 건강 수다’> 글_ 정혜승. 아플 걱정, 공부할 걱정 없는 세상을 만들고 싶은 변호사예요. 그림_ 오요우 삼촌 몸이 아플 때 병원에 갔던 기억이 있을[…]
추천 글
산불 재난이 건강 불평등을 악화시키지 않도록
영남 지역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이 열흘 넘게 이어지며 큰 피해를 낳았다. 30일 오전 9시 기준으로 75명의 사상자가 발생했고 이중 30명이 사망하였다. 현재 주불은 모두 잡혔지만, 계속 불어오는 강한 바람[…]
추천 글
스스로를 파괴하는 사람들, 개인의 선택일까?
돋을볕 (시민건강연구소 영펠로우) 한국 사회의 마약 확산 속도가 가파르다. 지난해 마약 성분이 함유된 불법 의약품의 국내 반입이 4년만에 약 43배 급증했으며(☞관련 기사: 바로가기), 지난해 적발된 마약류 사범의[…]
추천 글
무엇을 위한 개혁인가
이른바 ‘4대 개혁’을 내세웠던 대통령은 이제 없지만, 그가 추진했던 개혁들은 여전히 진행 중이다. 지난 19일, 정부가 ‘의료개혁 2차 실행방안’을 발표했고, 그다음 날에는 국회에서 국민연금 개혁안이 통과되었다. 의료개혁 2차 실행방안은[…]
추천 글
[성명] 이스라엘은 당장 팔레스타인 가자지구 집단학살을 멈춰라
이스라엘은 당장 팔레스타인 가자지구 집단학살을 멈춰라 – 이스라엘과 미국의 집단학살 재개는 중동 전역에 대한 선전포고 이스라엘이 미국의 지원 속에 집단학살을 재개했다. 3월 18일 현지 시각 새벽 2시, 이스라엘은 폭격기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