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리풀논평] 6월 지방선거에서 무엇을 할 것인가? 6월 13일 지방선거까지 딱 한 달 남았다. 곳곳에 출마자의 얼굴과 홍보물이 보이지만, 딱히 선거철이라고 느끼기는 어렵다. 늘 그렇듯 지방자치와 지방정치의 허약함을 반영하는[…]
태그 글목록: 건강불평등
[공동논평] 대통령 개헌안에 관한 우리의 입장
우리 연구소는 대통령이 발의한 개헌안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논평을 발표했습니다 =========================================================== [공동논평] 대통령 개헌안에 관한 우리의 입장 개헌 논의 과정에서 시민참여가 부족했던 점은 여전히 아쉽다. 2018년[…]
추천 글
평등하지 않은 사회, 우리가 원하는 보건의료의 모습은?
[서리풀연구통] 평등해야 건강하다? 평등하지 않은 사회, 우리가 원하는 보건의료의 모습은? 김 선 (시민건강증진연구소 연구원) 사회가 불평등할수록 여러 질병의 유병률이 높고 기대수명 역시 낮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 특히[…]
추천 글
약자가 배제된 참여, 불평등 악화시킨다
[서리풀연구통] 약자가 배제된 참여, 불평등 악화시킨다 ‘살아남은’ 사람들만 조사하는 한계 푸른언덕 (시민건강증진연구소 회원) 작년 말 참여연대와 무상의료운동본부를 비롯한 시민사회단체들은 ‘문재인 케어’ 실행과 관련하여 비판을 제기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문케어[…]
추천 글
[모집] 서리풀 토요세미나: 사회역학-정책 협동 세미나
[모집] 서리풀 토요 세미나: 사회역학-정책 협동 세미나 제안: 계명대학교 박진욱, 시민건강증진연구소 김명희 문서작성일: 2018.01. 1. 제안 배경 건강불평등,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역학적 분석과 정책/전략을 함께 다루며[…]
추천 글
지역 간 건강 불평등의 정치경제적 뿌리
[서리풀 연구통] 지역 간 건강 불평등의 정치경제적 뿌리 이주연 시민건강증진연구소 연구원 사회적으로 건강불평등이 처음 문제되었을 때, 사람들은 그 원인을 술, 담배, 건강하지 못한 식생활 등 개인의 생활습관 차이에서 찾으려[…]
추천 글
<건강 격차>의 저자가 한국에 오는 이유
11월 20일 마멋(Michael Marmot)이 한국에 온다. 그 사람이 누구냐고? 이 분야 전문가나 겨우 이름을 알까, 연예인처럼 유명하지는 않다. 그래도 무려(!) 기사 작위까지 받아 경(卿, Sir)이니, 아주 무명도 아니다. […]
추천 글
부동산 정책은 건강 정책이다
집값 상승, 세입자 건강에 해롭다 [서리풀 연구通] “부동산 정책은 건강 정책이다” 김 정 우 (시민건강증진연구소 회원) 6.19 부동산 대책, 8.2 부동산 대책, 10.24 가계부채 종합대책. 새 정부가 들어서고 나서 반[…]
추천 글
[시민건강이슈 2017-06] 지금, 여기에서 대한민국의 국제보건을 비판한다
지난 연말을 뜨겁게 달군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에서도 국제개발원조는 핫 이슈였습니다. 비빔밥과 K-Pop, 산전초음파를 패키지로 제공하는 코리아에이드 같은 정체불명의 프로젝트가 시행되었을 때, 국제보건에 종사하든 아니든 많은 사람들이 의아해했습니다. 왜 이런 일이 벌어졌을까?[…]
추천 글
대선에서 ‘불평등’ 이슈가 사라진 이유
토마 피케티를 기억하시는지? 그가 쓴 <21세기 자본>이 한국 사회를 흔들었던 것이 2년도 채 지나지 않았다. 2014년 9월 피케티가 한국에 온 때가 정점이었을 것이다. 자칭 타칭 ‘진보’와 ‘보수’를 가릴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