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평

서리풀 논평

코로나19 피로감이라는 위기

  일요일까지 닷새째 확진자가 하루 3백 명을 넘었다. 다들 말하는 대로 ‘3차 유행’이 시작되었고 방역 단계를 올릴 수밖에 없을 것이다. 하지만, 그동안 여러 차례 예상과 경고가 있었으니 놀람보다 ‘놀랍지 않음’을[…]

추천 글

서리풀연구통

건강불평등은 구조적 폭력이다

  푸른 언덕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폭력은 늘 우리 곁에 있다. 성폭력, 가정폭력, 학교폭력, 직장폭력 등 우리는 매 순간 여러 폭력의 위험에 노출된 채 살아간다. 폭력은 우리의 존엄성과 건강을 훼손하고,[…]

추천 글

서리풀 논평

정신건강 위기에 대처하는 법 – 사회적 전략

  무감각한 통계나 그 얇은 언론 보도가 무슨 소용이 있으랴, 정신건강이 위태롭다는 것은 이 시기 모두가 공유하는 감각이고 경험이다. 지금까지 아무렇지 않았던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 모르겠다. 앞으로도 상황이 금방 달라질[…]

추천 글

서리풀연구통

감염병 위기에서 신뢰의 함정

  김성이(시민건강연구소 연구원)     코로나19는 바이러스를 통해 일어나는 질병이지만, 다양한 비생물학적 요인, 특히 소득과 직업, 인종, 젠더 같은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이 발생률과 사망률에 영향을 미친다 (논문 바로가기☞코로나19에서 건강형평성과 건강의[…]

추천 글

외부 기고문

[고래가 그랬어: 건강한 건강수다] 쓰레기를 줄여 지구를 돕자

<어린이 교양잡지 “고래가 그랬어” 204호 ‘건강한 건강수다’>   글: 박 진욱, 그림: 박 요셉   코로나19로 우리 일상의 많은 부분이 달라졌어. 모두 건강하게 이 시기를 보내도록 동무들도 힘들어도 참고 노력하고 있을[…]

추천 글

성명서

[공개서한]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트립스 협정 유예안’ 지지 촉구 (2020.11.09) + 한국 산업통상자원부/외교부 회신

[외교부 장관 면담요청 공개서한]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트립스 협정 유예안’ 지지 촉구     수신: 강경화 외교부 장관 참조: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김용래 특허청장,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 발신: 아래 연명[…]

추천 글

서리풀 논평

미국 대통령 선거와 한국의 코로나19 대응

  선거 후에도 한참을 끌더니 이제야 다음 미국 대통령이 정해졌다. 지금 분위기는, 한국에서는 특히 더, 새로운 대통령이나 정권보다 트럼프가 물러난다는 사실에 더 큰 관심이 있는 듯 보인다. 현직 미국 대통령이[…]

추천 글

외부 기고문

[셰어 10월 이슈페이퍼]임신중지는 생각하지 마

시민건강연구소 김새롬   3년 전인 2017년, 형법상 낙태죄 폐지와 안전한 임신중지에 대한 국민청원이 한 달 만에 23만 명이 넘는 사람의 동의를 얻고, 낙태죄 폐지를 요구하는 시민들의 검은 시위가 열렸다. 같은[…]

추천 글

서리풀연구통

그녀들은 어떻게 되었을까? – 임신중지서비스를 거절당한 여성들의 이야기

  김새롬 (시민건강연구소 연구원)     10월의 마지막 금요일, 폴란드의 수도 바르샤바에서는 수만 명의 시민이 모여 거의 모든 임신중지를 불법화하기로 결정한 헌법재판소의 결정에 반대하는 시위를 벌였다 (관련기사 바로가기☞ “폴란드의 임신중지[…]

추천 글

서리풀 논평

새로운 방역 지침이 불안하다

    정부가 11월 1일(일요일) 오후 늦게 새로운 방역 지침을 발표한다고 하는데, 작업 과정 때문에 더 기다리지 못하고 이 <논평>을 작성한다. 정부 발표의 자세한 내용은 알 수 없으나 이미 여러[…]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