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진자 수는 아직 ‘폭발’이 아니나, 비관적 전망을 하는 사람이 더 많은 것 같다. 수도권 상황이 이대로 가면 걷잡을 수 없다는 것이 경고의 요지다. 가능성과 무관하게 그런 일이 없기를[…]
논평
[한겨레:인터뷰] “코로나로 ‘사회 건강해야 나도 건강’ 인식 분명해졌죠”
[짬] 시민건강연구소 김명희 센터장 “완성도가 낮더라도 오는 8월까지는 코로나19 시민 백서를 내려고 해요. 백신이 나오지 않는 한 이번 코로나 사태가 내년까지는 갈 겁니다. 바이러스가 2차 유행하기 전에 가난하고 힘없는[…]
추천 글
이주민에 대한 차별 없는 의료가 코로나19를 넘어서야 하는 이유
– 예외적 조치로 해결할 수 없는 것들 – 김선 (시민건강연구소 연구원) 지난 5월 1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미등록 이주민도 “비용 부담과 강제 출국에 대한 걱정 없이” 코로나19 검사와 치료를[…]
추천 글
[고래가 그랬어: 건강한 건강수다] 어떻게 지내?
<어린이 교양잡지 “고래가 그랬어” 199호 ‘건강한 건강 수다’> 글: 서상희 이모, 그림: 박요셉 삼촌 코로나19가 유행하는 동안, 어떻게 지냈어? 집에 있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답답하고 외롭지는 않았니? 새 학기가[…]
추천 글
‘질병관리청’ 논의, 처음부터 틀렸다
우리는 정부가 발표한 개편 방안이 어떤 속 사정이 있는지 무엇을 목표로 하는지 잘 모른다. 무능력하거나 게을러서 그런 것이 아니라, 정부가 그 어떤 정보도 공개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정부 조직 문제는[…]
추천 글
[REPUBLIK:Schön, wir haben bald eine App. Und dann?]
스위스 비영리독립언론사 REPUBLIK에서는 현재 유럽과 미국에서 논의 중인 코로나 바이러스 추적을 위한 앱 도입의 전략과 교훈을 살펴보기 위하여, 이미 코로나19 추적앱을 개발하여 시민들에게 제공하고 있는 중국, 대만, 한국, 홍콩 등[…]
추천 글
[공동성명] 문재인 대통령은 세계보건기구의 연대협력 요청에 말이 아니라 행동으로 응답하라 (2020.06.03)
문재인 대통령은 세계보건기구의 연대협력 요청에 말이 아니라 행동으로 응답하라 지난 5월 29일 세계보건기구(WHO)는 전세계가 코로나 19 대응을 위한 과학기술에 공평한 접근을 할 수 있도록 전세계 정부, 비정부기구, 과학자, 연구자,[…]
추천 글
‘사회적 거리두기’를 지탱해주는 노동자들이 건강하려면
김성이 (시민건강연구소 연구원) 코로나19의 경제적 여파는 한국을 비롯한 전세계의 경제성장률 급락과 실업률 상승으로 나타나고 있다(관련기사: “올 세계경제 GDP 9조 달러 증발”). 국제노동기구(ILO)에 따르면, 전세계 노동자의 81%가 코로나19로 인한 작업장[…]
추천 글
‘원격의료’에 대한 헛된 또는 이유 있는 집착(3) – 공공성 강화를 위한 ‘재난 민주주의’
일주일 전 <서리풀논평>에서 우리는 다음과 같이 진단했다(). 체제 차원으로 보면 원격의료는 시금석이고 마중물이며 물꼬이다. 산업과 경제의 크기는 중요하지 않다. 영리병원, 바이오신약, 빅데이터 등도 모두 마찬가지, 서로 분리될 수 없으며[…]
추천 글
감염병 유행이 불러일으키는 숨겨진 피해: 에볼라 유행으로 인한 재생산건강 서비스 접근성 저하와 사망
김새롬 (시민건강연구소 연구원) 신종감염병 유행이 사회 곳곳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병·의원도 예외는 아니다. 최근 한 민간 연구소에서 신용카드 매출 자료를 분석한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같은 기간과 비교했을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