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글목록: 서리풀연구통

서리풀연구통

세계은행은 여성들에게 무엇을 기대하는 걸까? – 여성 임파워먼트, 새로운 기회와 오래된 착취 사이

김새롬 (시민건강연구소 연구원)   성 평등은 한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 과제이며, 국경을 넘어 영향을 주고받는다. 한국에서 페미니즘 의제가 확장되는 과정을 기억하는 많은 사람이 2014년 유엔여성기구의 HeForShe 캠페인을 알리던 엠마 왓슨의[…]

추천 글

서리풀연구통

지역 건강불평등의 ‘원인의 원인의 원인’

김선 (시민건강연구소 연구원)   ‘조국사태 블랙홀’이란 표현조차 이제는 식상하지만, 담론 지형을 변화시키려는 시도들도 이루어지고 있다. 지난 10월 6일과 7일, 경향신문은 <서초동도 광화문도 아닌 청년 목소리>라는 제목으로 10개의 릴레이 기고를 연재했다.[…]

추천 글

서리풀연구통

임신중단 합법화와 안전한 서비스 제공을 넘어

[서리풀 연구通] 임신중단 합법화와 안전한 서비스 제공을 넘어   김성이 시민건강연구소 연구원   2016년 10월에 시작하여 지금까지 수많은 여성들을 거리와 광장으로, 또 온라인 국민청원으로 모이게 만든 중요한 의제 중 하나는[…]

추천 글

출판(단행본)

시민건강연구소 신간 – 몸은 사회를 기록한다

연구소에서 그동안 “서리풀 연구통”으로 발행했던 글들을 모아 낮은산 출판사에서  [몸은 사회를 기록한다 –  우리 몸에 새겨진 불평등의 흔적들] 이라는 제목의 책을 발간했습니다. 단행본으로 묶으면서 건강불평등이라는 주제를 시민들이 쉽게 읽을 수 있도록[…]

추천 글

서리풀연구통

100년전과 다를 것 없는 비정규직 건강 문제

한겨레 2014.02.12 <건강렌즈로 본 사회> (바로가기)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더 힘들고 어려운 작업에 내몰리고, 각종 상해에 노출됐다. 낮은 임금 때문에 충분한 휴식 없이 연장 근무를 감당해야 했다. 이들은 장애와 감염성[…]

추천 글

논평 서리풀연구통

세살 가난, 노년기 정신건강 해친다

한겨레 <건강렌즈로 본 사회> 2014년 1월 29일자 (바로가기)   현재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는 국내외에서 많이 찾아볼 수 있다. 그런데 어린 시절 가정환경이 손자·손녀를 돌볼 나이의 노인이 되도록[…]

추천 글

서리풀연구통

의사의 양심을 시험하는 투자활성화대책

한겨레 2014년 1월 1일자 <건강렌즈로 본 사회> (바로가기)   지난달 중순 정부는 의료기관이 영리법인 자회사를 세울 수 있도록 허용하는 ‘4차 투자활성화 대책’을 발표했다. 정부는 이 대책이 결코 ‘의료 민영화’나 의료서비스의[…]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