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정은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코로나19 팬데믹 발생 이후 비로소 대중의 이목을 모으게 된 돌봄 대란. 돌봄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도 강조되는 상황 속에서도, 돌봄이 주변화, 여성화, 외주화되는 현상은 해소는커녕[…]
서리풀연구통
역학과 윤리가 만날 때
– 보건 정책은 어떠한 건강형평성 정의를 필요로 하는가 – 권시정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보건복지부의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이 제시하는 비전은 ‘모든 사람이 평생 건강을 누리는 사회’다. 이 계획의 목표는 두 가지다. 하나는[…]
추천 글
건강검진 너머의 ‘건강 체계’를 실현하지 못한 이유
김찬기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한국은 건강검진의 나라다. 몸에 무언가 이상을 느끼거나 의료 서비스를 받아야겠다는 필요가 있을 때 우리는 병원으로 가 각종 피검사와 영상 검사, 내시경 검사를 받는다. 검사 결과[…]
추천 글
범죄의 공포는 여성의 사회적 참여도 위협한다
김지민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길거리, 공원, 지하철 등 우리의 일상 공간이 연이은 폭력 범죄로 위험에 처했다. 일면식도 없는 타인을 향한 폭행, 칼부림, 성폭력, 그리고 심지어 살인이 시내 한복판에서 벌어지고[…]
추천 글
폭염으로 인해 더 많이 다치는 노동자들
폭염 피해 예방이 산재 방지 대책이다 최강우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유난히 덥고 습하게 느껴지는 여름이다. 해가 갈수록 평균 기온이 높아질 뿐 아니라, 기후의 기복이 심해지고 있어서 아닐까? 비는 언론에서[…]
추천 글
차별은 사람의 성격이 아니다
문주현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처음 본 사이든 가까운 사이든 대화가 멈추는 순간이 있다. 이때 16가지 성격유형은 대화의 빈틈을 메우고 새로운 대화주제를 발굴하는 데 쓸만한 도구다. 저 사람은 왜 저러나[…]
추천 글
평균에 숨겨져 보이지 않는 암 사망의 불평등
– 암 사망률로 본 사회적 불평등 – 박은혜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매년 9월 말이 되면 통계청에서 사망원인통계를 발표한다(☞관련 자료: 바로가기). 사망원인통계는 작년 한 해 동안 한국 사회에서 얼마나 많은[…]
추천 글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소셜미디어 식문화 운동이 필요하다
정승민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올 여름 전국 곳곳에서 기록적인 폭우가 발생하여, 12년 만에 가장 많은 사망 및 실종자가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기상재해는 우리나라에서만 발생한 것이 아니다. 북미대륙 동부, 일본에서도[…]
추천 글
의사 근로시간 변화까지 고려한 인력 정책이 필요하다
– 20년 간 미국 의사 근로시간의 변화가 의사 인력 정책에 주는 함의 – 느린 발걸음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의사 부족 현상에 대한 논의는 주로 의사 인력의 수, 분포에 초점이[…]
추천 글
무차별적 긴축 재정의 차별적 영향, 여성은 자유롭지 못하다
두레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경기침체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국가들의 정부는 최적의 대안을 내놓기 위해 노력한다. 많은 대안 중에서도 정부가 씀씀이를 줄이는 일명 “긴축 재정”은 한 나라의 재정건정성을 담보하기 위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