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커밍아웃 경험이 성소수자의 정신 건강에게 미치는 영향 – 이혜민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성소수자 자긍심의 달(Pride Month)로 지정된 매년 6월은 전 세계 곳곳이 무지개 빛으로 가득 채워진다. 올해는 박사후연구원으로[…]
논평
‘미래’를 의심하자
뜬금없이 대통령이 석유 가스 매장 가능성에 대해 발표했다. 발표 형식부터 내용까지 다양한 측면에서 비판이 나온다. 크게 이렇게 나눠볼 수 있겠다. 먼저, 발표 자체에 대해 신뢰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이다. 현재[…]
추천 글
건강을 위협하는 주거 불안, 누구의 책임인가?
김은지 (시민건강연구소 영펠로우) 지난 5월 대구에서 전세사기 피해자가 목숨을 끊는 일이 또다시 발생했다. 벌써 8번째 사망이다. 지난해 6월 1일 전세사기 특별법 시행 이후 1년간 총 1만 7593명의 피해가[…]
추천 글
[고래가 그랬어: 건강한 건강수다] 폭염아래서 일한다는 것
<어린이 교양잡지 “고래가 그랬어” 247호 ‘건강한 건강 수다’> 글_ 전수경 일하는 사람, 노동자가 존중받는 세상을 만들고 싶어요. 그림_ 오요우 삼촌 기후 위기가 오면서 여름이 일찍 오는 것 같아요.[…]
추천 글
점령된 땅, 빼앗긴 권리, 멈추지 않는 삶
‘지붕없는 감옥’에서 이제는 ‘집단무덤’으로 불리게 된 팔레스타인 가자지구. 띠처럼 생긴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의 남쪽 라파에는 지금 북쪽에서 내려온 백만명의 피난민들이 머물고 있다. 국제사법재판소는 이스라엘에 라파에 대한 공습을 중단하라는 명령을 내렸지만, 그[…]
추천 글
재난 피해 노인도 지역사회 회복의 주체가 될 수 있다
정승민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기상 이변으로 인해 올 해도 무더위와 폭우가 예상되고 있다. 최근 발생한 자연 재해나 그밖에 여러 사회적 재난을 돌아보면, 재난을 예방하는 것 뿐만 아니라 그 재난을[…]
추천 글
예타를 넘어서는 ‘좋은’ 공공병원 만들기 운동
지난 17일 열린 국가재정전략회의에서 대통령은 연구·개발(R&D) 분야 예비타당성조사(이하 ‘예타’)를 전면 폐지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지난해 R&D 예산을 대폭 삭감한 후폭풍으로 여론이 크게 악화된 것을 만회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이러한 파격적 방침을[…]
추천 글
지방분권이 지역 주민의 건강을 향상할 수 있으려면
김슬기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대한민국 어디서나 살기 좋은 지방시대” 윤석열 정부는 6대 국정목표 중 하나로 ‘지방시대’를 설정하고, 진정한 지역주도 균형발전 시대를 열겠다고 국민에게 약속하였다. 「지방자치분권 및 지역균형발전에 관한 특별법」을[…]
추천 글
전세사기, 정보부족이 아니라 주거권 부재 때문이다
“전세를 얻는 젊은 분들이 경험이 없다보니 덜렁덜렁 계약을 했던 부분이 있지 않을까 싶은데…“ 전세사기 피해자가 목숨을 끊는 일이 또다시 발생하고 채 2주도 되지 않아 나온 국토교통부 장관의 발언이다. ‘개인이[…]
추천 글
식이보충제(영양제)는 건강을 위한 묘약인가?
느린 발걸음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한국 사람의 44.9%(2020년 기준)가 건강기능식품·건강보조식품 등을 포함하는 식이보충제를 복용하고 있다고 한다. 10-20대의 복용 비율은 10~20% 정도였으나 30대 이상에서는 40~50%가 복용 중이었으며, 5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