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평

외부 기고문

[포스트 코로나의 대안] 코로나 이후의 코로나, ‘지방정부’와 ‘지역’이 중요한 이유

다시, 공공병원 확충을 위한 발걸음 내디딜 때   정백근 (국립경상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지역 완결적 맞춤형 보건의료체계 구축의 필요성   문재인 정부는 2018년 ‘공공보건의료발전 종합대책’, 2019년 ‘믿고 이용할 수 있는[…]

추천 글

서리풀 논평

국제보건에 대한 한국의 책임

양국은 코로나19로 인한 전 세계적 고통을 인식하고 팬데믹을 종식시키고 미래 글로벌 보건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다자 협력에 대한 약속을 공유한다. 우리는 글로벌보건안보구상(GHSA) 하의 협력을 확대하고, 팬데믹 예방과 대응을 강화할 것을[…]

추천 글

글로벌 헬스 와치 외부 기고문

캐나다의 공공제약사 ‘코너트랩’이 우리에게 주는 함의

공적 투자 시설에서 생산된 백신은 누구의 것인가   박지은 한국민중건강운동(PHM Korea) 펠로우   캐나다는 전 세계에서 인구당 가장 많은 코로나19 백신을 확보한 국가다. 백신 싹쓸이에 대한 국내외 시민사회의 비난을 의식한[…]

추천 글

서리풀연구통

아동의 생존권과 보호권을 보장하자!

이오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코로나19 이후 보호자의 양육스트레스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해외의 경우 보호자의 정신건강이 나빠졌다는 답변이 늘어났고, 자녀가 어릴수록 그 수치는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내에서도 보호자의 양육스트레스가 증가한[…]

추천 글

서리풀 논평

안전하고 건강한 노동은 불가능한가

좀처럼 이해하지 못할 이런 비상식적 상황이 왜 이렇게 오래 계속될까. 어떤 건강 문제라도 이런 심각성이면 무슨 대책이라도 만들어졌을 것이다. 적어도 일주일에 한 번꼴로는 신문에 나고 방송 전파를 탔으리라. 그러나 집단[…]

추천 글

성명서

[공개서한][국영문] 한미 정상회담에서 코로나19 백신 불평등 해결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라!

수신: 한국 문재인 대통령, 미국 조 바이든 대통령 발신: 아래 연명 단체 및 개인 일자: 2021년 5월 18일   제목: 한미 정상회담에서 한미정상이 코로나19 백신을 전 세계 공공재로 사용될 수[…]

추천 글

외부 기고문

[포스트 코로나의 대안] 공공병원 확충이 의료공공성 회복의 희망이자 지표

다시, 공공병원 확충을 위한 발걸음 내디딜 때   조승연 (인천광역시의료원장, 전국지방의료원연합회장)   데자뷰(Deja vu) 1.   2003년 출범한 노무현 정부는 공공의료발전계획을 수립하였다. 4조 원이 넘는 예산으로 공공병원을 전체의 30%까지 늘리고,[…]

추천 글

서리풀연구통

‘아프면 쉴 권리’를 보장하는 상병수당

이주연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지난 4월 캐나다 온타리오주는 유급병가 정책 도입을 위한 법안을 발표했다. 유급병가 정책이 코로나19 유행에서 일하는 사람의 건강과 생계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전체를 보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추천 글

서리풀 논평

백신의 정치경제, 한국이 할 수 있는 일

미국이 코로나19 백신의 지식재산권 유예를 지지하기로 했다(☞관련 기사 바로보기). 때늦은 감이 있으나 우리는 백신 생산과 특허에 주도권을 쥔 미국의 결정을 지지하고 환영한다. 아직 망설이는 많은 나라가 흐름에 동참하기를 기대한다.  […]

추천 글

외부 기고문

[고래가 그랬어: 건강한 건강수다] 5월 1일 노동절은 왜 ‘근로자의 날’일까?

<어린이 교양잡지 “고래가 그랬어” 210호 ‘건강한 건강수다’>   글: 이주연, 그림: 박 요셉   5월 1일은 노동절이야. 5월 5일 어린이날은 어린이들의 인권을 존중하기 위한 날이고, 노동절은 노동자들이 존중받으며 일하는 권리를[…]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