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평

외부 기고문

[프레시안:기고] 新감염병 레짐…신자유주의적 코로나19

김창엽(시민건강연구소 소장,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   코로나19를 비롯한 감염병은 생물학적이고 의학적인 사건인 동시에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현상이다. 마스크의 과학은 마스크라는 자원을 배분할 때의 우선순위 문제와 만나고, 중국 경유자의 입국 금지는[…]

추천 글

서리풀 논평

세계화한 코로나에 맞선 시민의 대응

  조금 더 안정될 것인가 아니면 불안이 더 커질 것인가, 아슬아슬한 심정으로 한 주를 맞는다. 지난 2주 모든 시민이 협력해 대응한 연대의 성적표가 썩 괜찮기를 바란다. 우여곡절이 많이 남아 있으나[…]

추천 글

외부 기고문

[서울신문:인터뷰]”코로나 전수조사와 확진환자 동선 추적에 덜 불안해해야”

“지금은 접촉자의 완전한 전수조사와 확진환자의 완전한 동선 추적이 불가능합니다. 이 일에 온 공무원들이 매달리면 정작 더 급한 일을 놓칠 수가 있습니다.” 지난 1월 20일 국내 첫 코로나19 확진환자 발생 후[…]

추천 글

성명서

한국의 코로나19 유행과 대응에 대한 한국 민중건강운동 성명서

  2020년 3월 19일   한국의 코로나19 유행 대응은 여전히 ​​진행 중이며, 현 시점에서 이에 대한 평가를 하는 것은 다소 성급해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앞으로 코로나19 유행을 겪게 될[…]

추천 글

성명서

코로나 사태 극복을 위한 노동·시민사회의 제언

1.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사태(이하 코로나 사태)가 시작된 지 2달 여가 지났습니다. 전 사회적으로 코로나 감염증 확산 저지를 위해 총력을 다하고 있지만, 지역사회 감염으로 인한 산발적인 재확산 위험은 아직도 여전합니다. 질병의 확산도 문제지만[…]

추천 글

서리풀연구통

기후 위기와 감염병 위기, 떼어놓고 생각할 수 없다

  이도연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코로나19가 전세계를 휩쓸고 있다. 세계보건기구는 전세계 유행(pandemic)을 선언했다. 한국에서 확진자 증가세는 주춤해졌지만 이 사태가 장기화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매번 특성이 조금씩 다르기는 하지만, 감염병의[…]

추천 글

외부 기고문

[시사IN:주간 코로나19] 코로나19, 가늘고 길게 가는 게 최선이다

신천지, 마스크 5부제, 대구 한마음아파트, 서울백병원 폐쇄, 구로 콜센터…. 자고 나면 오늘의 코로나19 뉴스가 어제의 뉴스 위에 덮인다. 다 열어보자니 피로감이 쌓이고, 지나치자니 하나하나 다 중요한 함의들을 담은 사건이다. 코로나19와의[…]

추천 글

서리풀 논평

2주 뒤를 준비하는 ‘시민참여형’ 방역

    갖가지 위험이 도사리고 있으나 큰 고비 하나는 넘긴 것처럼 보이니 다행이다. 이번 주에는 소규모 집단감염도 줄어들기 바란다. 하지만, 감염병의 특성상 아주 좋은 경로로 가더라도 길게 꼬리가 이어질 수[…]

추천 글

서리풀연구통

노동자 보호에서의 불평등이 가져온 위기

  이오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코로나19와 관련하여 입원하거나 격리되는 이들에게 생활지원비와 유급휴가를 지원한다는 방침이 발표되었다 (관련기사 바로가기:). 하지만 여전히 유급휴가를 제공하는 기업보다는 무급휴가를 제공하는 기업이 더 많고, 게다가 무급휴가의[…]

추천 글

외부 기고문

[인권:칼럼]인권으로 함께 헤쳐 나가는 공중보건 위기

김명희 (시민건강연구소 상임연구원)   2014년 4월, 세월호 참사는 사람들에게 잔인한 교훈을 일깨워주었다. 각자도생(各自圖生). 위험한 순간에 ‘가만히 있으라’는 지시를 따르고 차분히 구조의 차례를 기다려서는 살아남을 수 없다는 가르침이다. 국가와 사회를 믿을[…]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