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른 언덕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2019-nCoV) 유행 때문에 많은 이들이 불안해하고 있다. 손 씻기와 마스크 착용과 같은 개인위생수칙만 잘 지키면 크게 위험하지 않다는 전문가들의 조언에도 쉽게 불안이 가시지[…]
서리풀연구통
식품지원 사업만으로 식품 미보장 해결이 가능할까?
하랑경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연말연시나 명절이 가까워오면 민간단체들이 형편이 어려운 가정에 쌀이나 김치를 제공하고, 또 식품을 구입할 수 있도록 성금을 전달하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다. 정부는 저소득 가정 아동의[…]
추천 글
노인에게 돌봄의 질에 관여할 권리를
박유경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최현숙 작가의 <작별일기>에는 86세의 엄마가 시설에 입소한 뒤 알츠하이머에 걸려 죽음에 이르는 과정이 일지 형태로 담겨있다. 돌봐줄 사람 없이 살아가는 가난한 노인에 비하면, 고급[…]
추천 글
청소년의 성건강을 위태롭게 하는 낙인과 차별
팥수수(시민건강연구소 회원) 작년 10월,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진선미 의원(더불어민주당)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제출 받은 자료를 통해 최근 5년간(2014년-2018년) 청소년 성병 진단 실태를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성병으로 진료를 받은 10-19세 청소년이 5만 6,728명에[…]
추천 글
산재보험 청구과정에서 겪는 부당한 대우는 노동자의 정신건강을 해친다
류한소(시민건강연구소 회원) 일을 하다 다치거나 병을 얻게 되면 그 자체로 정신건강에 위기가 닥칠 수 있다. 운이 좋다면 산재보험을 통해 약간의 경제적 보상을 받을 수 있지만 그것으로 다친 몸과[…]
추천 글
엄마의 야간근로는 아기의 걸음마 시작을 늦춘다
김명희(시민건강연구소 연구원) 주말 드라마 속 가족들은 호화로운 대저택이든 마당 있는 오래된 단독주택이든 온가족이 둘러앉아 저녁식사를 한다. 다들 칼퇴근하는 모양이다. 뭐 병원이든 방송국이든 프랜차이즈 식당이든, 일은 안 하고 연애만 해도[…]
추천 글
거리의 태극기부대, 안녕하신가요?
김성이 (시민건강연구소 연구원) 11월 마지막 주말 서울 도심에서는 현 정부의 노동법 개악을 반대하고 자유한국당 해체를 요구하는 전국민중대회, 검찰개혁을 촉구하는 촛불집회, 문재인정부를 규탄하는 보수성향의 집회들이 동시에 열렸다. 이 중에서도[…]
추천 글
최첨단 치료재료에 대한 환상과 여성 건강: 질 그물망(vaginal mesh) 이야기
연두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며칠 전 호주 여성들이 존슨앤존슨(Johnson & Johnson)이 생산한 질 그물망에 대해 집단 소송에서 승소했다는 기사가 실렸다(☞관련 기사: 호주 여성들이 존슨앤존슨을 대상으로 한 질 그물망 집단[…]
추천 글
건강도 불확실성을 싫어한다
두레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우리의 삶은 언제나 불확실하다. 나와 내 가족의 질병과 죽음, 혹은 일자리의 상실처럼. 언제 발생할지 모르는 위험을 안고 살아간다. 혹자는 불확실성의 미학을 이야기하며 지금의 현실을 담대하게[…]
추천 글
세계은행은 여성들에게 무엇을 기대하는 걸까? – 여성 임파워먼트, 새로운 기회와 오래된 착취 사이
김새롬 (시민건강연구소 연구원) 성 평등은 한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 과제이며, 국경을 넘어 영향을 주고받는다. 한국에서 페미니즘 의제가 확장되는 과정을 기억하는 많은 사람이 2014년 유엔여성기구의 HeForShe 캠페인을 알리던 엠마 왓슨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