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리풀 연구通] 배제와 혐오, 모두에게 해롭다 민동후 시민건강연구소 영펠로우 한국 사회는 한층 더 다문화 사회로 나아가고 있다. 2017년 현재 한국에 거주하는 다문화 가구원은 96만 명에 이르며(☞관련자료), 가장 최근의 이민자 고용조사[…]
서리풀연구통
지쳐서 쉬겠다는데, 왜 주눅 들어야 하죠?
[서리풀 연구通] ‘정당한 환자’ 되기 위해 견뎌야 할 낙인 류한소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일이 생계의 방편이기만 한 것은 아니다. 사람들은 일을 통해 성장하기도 하고, 일터에서 사회적 관계를 쌓기도 하며,[…]
추천 글
‘위험의 외주화’가 ‘어쩔 수 없는 일’이라고?
[서리풀 연구通] 노동자가 죽어야만 제도가 바뀌는 세상, 대체 언제까지? 이주연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지난 12월 22일 토요일, 광화문 파이낸스센터 빌딩 앞에서 태안화력발전소 하청노동자 고(故) 김용균 씨를 기리는 범국민촛불추모제가 열렸다.[…]
추천 글
임신중단 합법화와 안전한 서비스 제공을 넘어
[서리풀 연구通] 임신중단 합법화와 안전한 서비스 제공을 넘어 김성이 시민건강연구소 연구원 2016년 10월에 시작하여 지금까지 수많은 여성들을 거리와 광장으로, 또 온라인 국민청원으로 모이게 만든 중요한 의제 중 하나는[…]
추천 글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의 일상 회복을 위해…
[서리풀 연구通] 디지털 성범죄가 낳는 건강 피해 김새롬 (시민건강연구소 연구원) 최근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약칭 성폭력처벌법) 개정안이 2년 만에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기존 법은 동의 없이 다른[…]
추천 글
그 제품은 안전한가요?
[서리풀 연구通] 국가의 책임을 묻다 연두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지난 11월 26일 국제탐사보도언론인협회(ICJI)가 주도하여 36개국 59개 언론기관이 함께 글로벌 의료기기 산업의 문제점을 파헤친 결과가 3일에 걸쳐 <뉴스타파>에 보도 되었다.[…]
추천 글
노인요양시설 비리, 사립유치원 비리 못지 않다
[서리풀 연구通] 신자유주의와 노인요양시설의 공공성 김정우 시민건강연구소 연구원 많은 사람들이 사립유치원의 비리에 공분했지만, 사립요양시설의 비리도 그에 못지않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사립 노인요양시설 대표자들이 골프장·호텔·백화점·피부미용시설 이용비, 병원비, 여행비, 귀금속 구입비[…]
추천 글
‘검은 시위’ 5년 만에 날다
[서리풀 연구通] ‘임신 중단 합법화’, 더 큰 목소리가 필요하다 오로라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2016년 10월 폴란드에서 검은 옷을 입은 수십만 명이 거리 시위를 벌였다. 일명 ‘검은 시위(폴란드어로 Czarny Protest)’라[…]
추천 글
일터 괴롭힘의 사회적 비용
김 명 희 (시민건강연구소 상임연구원) 한국 사회에서 마법의 주문 같은 용어가 ‘경제 효과’다. 대개는 어떤 사업이나 정책이 우리가 상상도 못할 금액의 경제 발전을 가져온다는 식으로 쓰인다. 지난 10년[…]
추천 글
한국에도 원자폭탄 피해자들이 있나요?
이오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지난 10월 3일 하토야마 유키오 전 일본 총리가 경남 합천을 찾아 원자폭탄 (이하 원폭) 피해자들에게 사죄하고 합천원폭피해자복지회관에 있는 위령각을 참배했다(관련 기사: 하토야마 전 일본 총리, 합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