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에게 열려있는 시민건강연구소 월례세미나 시민건강연구소는 작년에 이어 2019년에도 “건강사회운동(Health Social Movement)” 이라는 연간주제로 월례세미나를 이어갑니다. 모든 사람의 건강과 생명은 차별 없이 존중되고 보호받아야 하는 기본권이자 인권이지만, 국가와 자본, 권력과 기술은[…]
공부방
[신청마감](다시 돌아온) 2019 어린이건강권세미나 (4/19 시작)
신청마감되었습니다 :) 다음 기회를 이용해주세요. 많은 관심 감사드립니다 ~ 2019.04.05. 14:10 제안 배경 한국사회의 불평등이 심화되는 동안 아동청소년의 삶 역시 건강권은 침해받고 격차는 더 커지고 있습니다. 노키즈존, 스쿨미투, 청소년들의[…]
추천 글
[10차 고전읽기모임] 참가자 모집
시민건강연구소는 2014년 1월부터 회원들과 <고전읽기모임>을 진행해왔습니다. 눈앞에 직면한 연구 문제나 정책적 과제를 해결하는데 급급하다 보면 그러한 문제들의 근본을 다루고 있는 ‘고전’에 대한 갈망이 커지기 마련입니다. 부분 발췌와 재인용 단락을 읽는[…]
추천 글
‘시민참여 연극을 활용한 시민참여연구’ 방법론 워크숍
‘시민참여 연극을 활용한 시민참여연구’ 방법론 워크숍(이론+실습) 연구를 위한 연구가 아닌 실질적인 사회변화를 모색하는 연구를 하고 싶나요? 시민(당사자)의 성장과 참여없이 제도적-정책적 변화만으로 사회 혁신을 시도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지역사회문제를[…]
추천 글
[시민건강이슈 2018-13] 방글라데시 다카 제4차 민중건강총회 참가기
필진(가나다순): 김선, 김성이, 김정우, 서상희 (시민건강연구소 연구원) 편집인: 김선 (시민건강연구소 연구원) 시민건강연구소는 2015년 4월부터 민중건강운동(People’s Health Movement, PHM)에 참여해 왔다 (“PHM Korea 활동을 소개합니다” 바로가기). 민중건강운동은 전[…]
추천 글
<2018년 시민건강연구소 송년회>에 회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안녕하세요? 만추(晩秋)는 간 데 없고 초미세먼지로 어느 때보다 답답한 하늘만 속절없이 올려다보게 되는 11월 끝자락입니다. 이맘때는 송년회를 알리는 문자와 메일이 몰려드는 시즌이기도 하지요. 어김없이 다사다난했던 2018년 한 해를 돌아보는 행렬에 우리[…]
추천 글
[9차 고전읽기모임] 참가자 모집
시민건강연구소는 2014년 1월부터 회원들과 <고전읽기모임>을 진행해왔습니다. 눈앞에 직면한 연구 문제나 정책적 과제를 해결하는데 급급하다 보면 그러한 문제들의 근본을 다루고 있는 ‘고전’에 대한 갈망이 커지기 마련입니다. 부분 발췌와 재인용 단락을 읽는[…]
추천 글
[시민건강이슈 2018-10] 캐나다 토론토 공공보건의료 탐방기
필진: 이주연 (시민건강연구소 연구원) 편집인: 김명희 (시민건강연구소 연구원) 한국에서 공공의료에 대한 사회적 논의는 지난 10년 동안 정체되어 있었다. 우연인지 필연인지, 공공의료에는 관심이 없던 보수 정당이 집권하고 있던[…]
추천 글
[알림] 시민참여형 연구를 촉진하기 위한 의사소통 실습 워크숍
2018년 상반기 <지역사회 참여 기반 연구와 현장 연계> 세미나 참여자 중 일부 회원들이 올해 8월 캐나다에서 열린 Theater for Living Annual Workshop에 참가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이번 워크숍을 주도하여 기획 및 진행합니다. 관심있는 분들의 많은[…]
추천 글
[10월 월례세미나] “한국과 일본의 노동자 건강권 운동사”
모두에게 열려있는 시민건강연구소 월례세미나 2018년에는 “건강사회운동(Health Social Movement)”이라는 연간 주제로 매월 말 열립니다. 월례세미나를 통해 건강과 보건의료를 주제로 한국에서 다양한 부문과 주체에 의해 이루어졌던 크고 작은 운동들의 경과와 의미를 짚어보려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