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교양잡지 “고래가 그랬어” 250호 ‘건강한 건강 수다’> 글_ 박진욱 이모는 사람들의 건강 수준이 왜 다르게 나타나는지, 그런 차이를 없애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 공부하고 있어요. 그림_ 오요우 삼촌 […]
외부 기고문
[홈리스뉴스 126호]진료 연속성보장위해 홈리스 전환기의료 개선 필요해
「심층면담을 통한 홈리스 전환기 관리 현황 및 개선과제」함께 보기 정성식 (시민건강연구소 연구원) 전환기 관리란? 입원 치료 이후의 건강 회복 과정을 살피는 것 응급 사고가 나거나 중증 질환[…]
추천 글
[고래가 그랬어: 건강한 건강수다] 불평등한 그림자 노동
<어린이 교양잡지 “고래가 그랬어” 249호 ‘건강한 건강 수다’> 글_ 오로라 이모는 당연하게 여겨지는 것에 딴지 놓는 걸 좋아해요. 건강 정책을 연구하고 있어요. 그림_ 오요우 삼촌 아침 시간, 어떻게[…]
추천 글
[고래가 그랬어: 건강한 건강수다] 모두 건강을 돌보는 사람들
<어린이 교양잡지 “고래가 그랬어” 248호 ‘건강한 건강 수다’> 글_ 문다슬. 젠더 렌즈를 통해 노동자의 건강을 바라봐요. 그림_ 오요우 삼촌 정부가 의사를 늘리겠다는 정책을 발표했고, 의사들은 여기에 반발하며 진료하지[…]
추천 글
[고래가 그랬어: 건강한 건강수다] 폭염아래서 일한다는 것
<어린이 교양잡지 “고래가 그랬어” 247호 ‘건강한 건강 수다’> 글_ 전수경 일하는 사람, 노동자가 존중받는 세상을 만들고 싶어요. 그림_ 오요우 삼촌 기후 위기가 오면서 여름이 일찍 오는 것 같아요.[…]
추천 글
[고래가 그랬어: 건강한 건강수다] 나의 자유와 다른 사람의 자유가 부딪힐 때는?
<어린이 교양잡지 “고래가 그랬어” 246호 ‘건강한 건강 수다’> 글_ 정혜승 이모는 아플 걱정, 공부할 걱정 없는 세상을 만들고 싶은 변호사예요. 그림_ 오요우 삼촌 우리는 모두 각자의 행복을 추구하며 자유롭게[…]
추천 글
[고래가 그랬어 : 건강한 건강수다] 이상기후가 만든 먹거리위기가 느껴지나요?
<어린이 교양잡지 “고래가 그랬어” 245호 ‘건강한 건강 수다’> 글 : 김성이. 사람들이 폭력 없이 건강하게 사는 것에 관해 연구해요. 그림 : 오요우 삼촌 몸과 마음이 쑥쑥 자라는 어린이·청소년들은 운동도[…]
추천 글
[왜냐면] 상병수당 ‘도덕적 해이’ 논란…‘아픔의 증명’으로도 부족한가
최홍조 (아프면 쉴 권리 공동행동(준), 고려대 보건정책관리학부 교수) 감기 때문에 쉬어 본 적 있나요? 동네의원 갈 시간 없어, 직장 근처 약국에서 약만 산 적 있나요? 아픔에 대한 기억과 경험은[…]
추천 글
정부·의료계 갈등,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정백근 (시민건강연구소 소장, 경상국립대 의과대학 교수) 의대 정원 확대와 관련해 정부와 의료계의 갈등이 좀처럼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 정부는 지역의료·필수의료의 공백 해소를 의대 정원 확대가 필요한 이유로 제시하고[…]
추천 글
정부와 의사들이 이야기하지 않는, 의사파업의 진실
[이게 이슈] 누구를 위한 파업이며, 무엇을 위한 증원인가? 의대 입학 정원 확대에 반발한 전공의들의 집단 이탈 사태가 길어지는 중이다. 그로 인해 애꿎은 환자들의 피해가 늘고 있다. 생명과 직결된 중증·응급환자 진료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