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글목록: 건강불평등

외부 기고문

[고래가 그랬어: 건강한 건강수다] 진료비가 비쌀수록 구강 건강이 나빠진다?

<어린이 교양잡지 “고래가 그랬어” 235호 ‘건강한 건강 수다>   글: 류재인 고모는 동무들뿐 아니라 어른들도 무서워하는 치과에서 일하는 의사예요. 무시무시하다고요? 그림: 오요우 삼촌   안녕. 치과 고모야. 동무들이 좋아하는 물놀이랑[…]

추천 글

서리풀연구통

상대적 박탈이 글로벌 건강불평등을 심화시켰을까?

  김태현 (시민건강연구소 단기방문연구원)   한국 사회 내에서 소득에 따른 건강수준의 차이는 코로나19 유행 이전부터 줄곧 존재해왔다. 소득수준이 높은 사람일수록 우수한 영양상태, 높은 의료접근성, 새로운 정보를 처리하는 능력, 건강한 라이프스타일,[…]

추천 글

외부 기고문

[아프면 쉴 권리③] 아프면 쉬는 노동을 두고 보지 않는 ‘노동개혁’

작년 7월, 한국형 상병수당 시범사업이 시작되었습니다. 상병수당 도입 소식에 기뻤던 것도 잠시, 낮은 보장성 및 접근성을 특징으로 하는 제도적 설계는 일하는 사람들로 하여금 아파도 쉬지 말라는 무언의 압박이 되어버렸습니다. ‘아프면[…]

추천 글

세미나 소식

[마감되었습니다][참가자 모집] 이주와 건강 세미나

이주와 건강 세미나 [Migration and Health: Critical Perspectives] 함께 읽기   2023.02.06   1. 제안 배경과 목적   코로나19 팬데믹을 경험하며 지구정치경제적 차원에서 다자기구와 초국적자본, 국민국가의 역할에 대한 고민이 높아졌습니다.[…]

추천 글

서리풀연구통

보편적 건강권을 위한 글로벌 건강 운동의 도전

김지민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세계 각지의 건강 운동 활동가들은 사람들의 건강을 증진하고, 건강불평등을 야기하는 기저의 시스템 및 사회적 결정 요인에 도전하고자 노력해오고 있다. 코로나19라는 전 세계적 건강 위기가 종식되지도 않은[…]

추천 글

연구소 발간 자료

거제, 2017

거제, 2017 감독: 권순현 지난 6월 22일부터 7월 22일 현재까지, 한 달 동안 1㎥ 철장에 스스로 들어가 갇힌 조선업 노동자가 있습니다. 그 곳에서 그는 5년간 삭감된 하청업체 노동자들의 임금 회복,[…]

추천 글

서리풀연구통

권력 관계를 바꾸는 건강 정치는 어떻게 가능할까?

김지민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무엇이 건강불평등에 영향을 미칠까? 권력과 같은 정치경제적 요인은 건강불평등을 직접 초래하지는 않지만, 기저에서 현 상황을 유지하거나 바꿔내는 강력한 힘을 갖는다. 권력은 자본주의, 성차별주의 같은 사회이론이나[…]

추천 글

서리풀연구통

건강불평등은 누구의 책임인가? -건강불평등을 양산하는 이들로부터 관심 돌리기-

푸른 언덕(시민건강연구소 회원)   지난 9일 전국의 많은 시민사회단체들이 모여 ‘대선유권자네트워크’를 출범시켰다. 이들은 “불평등 해소”가 2022년 대선의 화두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기사 바로가기). 그만큼 불평등은 이제 간과하기 어려운 사회적 의제가 되었다.[…]

추천 글

글로벌 헬스 와치 외부 기고문

‘코로나 불평등’ 희생자 방치? 힘없는 사람들이 뭉쳤더니…

오로라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생존권을 보장하라’는 자영업자들의 시위가 연일 계속되고 있다. 정부는 동태를 살피며 조정안을 발표하고 있지만, 깊어진 불신의 골은 해소되지 못하고 있다. 저녁이 되어야 장사를 시작할 수 있는 노래방[…]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