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현 (시민건강연구소 단기방문연구원) 한국 사회 내에서 소득에 따른 건강수준의 차이는 코로나19 유행 이전부터 줄곧 존재해왔다. 소득수준이 높은 사람일수록 우수한 영양상태, 높은 의료접근성, 새로운 정보를 처리하는 능력, 건강한 라이프스타일,[…]
태그 글목록: 정신건강
‘추운 집’은 피할 수 있는 ‘사회적 가해’다
조상근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최근 난방비가 크게 올랐다. 난방에 필요한 천연가스의 가격이 우크라이나 전쟁의 영향으로 급등하여 가스요금이 인상되었기 때문이다. 대통령실은 미국, 영국, 독일 등 국가는 2022년 대비 가스요금이 2~4배[…]
추천 글
[마감되었습니다][세미나 참가자 모집] 글로벌 헬스 와치: 팬데믹의 그늘에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 모두의 건강을 위한 국제연대 ‘성장’이 아니라 ‘평등’을 목표로 하는 (탈)세계화를 위하여 [Global Health Watch 6 Reading Seminar] Post-COVID-19 era, Global Solidarity for ‘Health for All’ (De)Globalization for[…]
추천 글
마약 중독, 감시와 통제 넘어서기
10월 10일, 오늘은 “정신건강의 중요성을 환기하고 정신질환에 대한 편견을 해소하기 위해” 제정된 세계 정신건강의 날이다. ‘이제는 마음에 투자’하라는 슬로건이 드러내듯(정신건강의 날 누리집 바로가기) 우리 사회의 ‘개인주의-의료-결과’ 중심 정신건강 전략이 걱정스럽기는[…]
추천 글
11월 5일 젠더건강잡담회 | 청년 세대의 우울, 노동, 건강
11월 5일 금요일, 두 번째 젠더건강잡담회가 열립니다. 🎃시민건강연구소 젠더건강잡담회🎃에서는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및 젠더건강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함께 모여 서로의 관심사와 지식을 공유하고, 서로의 이해를 확장하고자 합니다. 젠더와 건강에 대한[…]
추천 글
정신건강 위기에 대처하는 법 – 사회적 전략
무감각한 통계나 그 얇은 언론 보도가 무슨 소용이 있으랴, 정신건강이 위태롭다는 것은 이 시기 모두가 공유하는 감각이고 경험이다. 지금까지 아무렇지 않았던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 모르겠다. 앞으로도 상황이 금방 달라질[…]
추천 글
[고래가 그랬어: 건강한 건강수다] 어떻게 지내?
<어린이 교양잡지 “고래가 그랬어” 199호 ‘건강한 건강 수다’> 글: 서상희 이모, 그림: 박요셉 삼촌 코로나19가 유행하는 동안, 어떻게 지냈어? 집에 있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답답하고 외롭지는 않았니? 새 학기가[…]
추천 글
실업과 해고는 남아 있는 사람들에게도 해롭다
두레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코로나 19 사태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면서 각 나라들은 1930년대 대공황 이후 최악의 침체가 도래할 것이라는 암울한 경제전망을 연일 쏟아내고 있다 (관련기사: 미국 GDP 34%[…]
추천 글
건강도 불확실성을 싫어한다
두레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우리의 삶은 언제나 불확실하다. 나와 내 가족의 질병과 죽음, 혹은 일자리의 상실처럼. 언제 발생할지 모르는 위험을 안고 살아간다. 혹자는 불확실성의 미학을 이야기하며 지금의 현실을 담대하게[…]
추천 글
[연구보고서] 2018 시민건강실록
“2018년 시민건강실록”이 나왔습니다. 우리 시민건강연구소가 네 번째 펴내는 시민건강실록입니다. 건강과 인권의 관점에서 한 해의 건강/보건의료 주요 이슈를 돌아보는 작업을 시작한 것이 2015년입니다. 올해의 실록 작성에는 건강세상네트워크, 노동건강연대, 빈곤사회연대,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어린이의약품지원본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