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급권자의 경험과 제도변화, 운동, 판례, 이의신청을 통해 보는 기초생활보장제도 20년 <기초법바로세우기공동행동>은 기초생활보장제도 20년을 맞아 기초생활보장제도의 개정을 위한 운동, 급여별 쟁점과 변화, 주요 판례와 이의신청 및 수급권자와 사회복지노동자 등 기초생활보장제도 주변[…]
자료실
[PHM브리프] 트립스 유예안, 제약자본의 지적재산권 독점을 막기 위한 전 세계적 연대를 촉구하다
트립스 유예안, 제약자본의 지적재산권 독점을 막기 위한 전 세계적 연대를 촉구하다 들어가며 2020년 말 몇몇 초국적 제약사들이 개발한 코로나19 백신 승인으로 인해 코로나19 팬데믹은 새로운 국면을 맞음. 그러나 이들[…]
추천 글
시민건강연구소 10주년 백서 “창립 15년, 도약 10년”
(사)시민건강연구소가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하고 2020년 10년의 연륜을 쌓기에 이르렀습니다. 감히 자평하건대 작은 걸음이지만 꾸준히 진보했다고 생각합니다. 활동에 직접 참여한 사람은 말할 것도 없고 널리 문제의식과 전망을 공유하는 많은 이의 협력[…]
추천 글
[연구보고서] 2020 시민건강실록
우리 연구소가 발행하는 <시민건강실록>에는 한 해 동안 일어나는 국내외 수많은 사건들 가운데 건강과 인권의 관점에서 특히 의미가 있다고 선정한 건강과 보건의료 이슈를 기록하고, 그에 대한 논평을 싣고 있습니다. 오늘 발표하는[…]
추천 글
[카드뉴스] 코로나19가 드러낸 불평등한 삶, 바로잡으려면!
2020년 10월, 우리 연구소는 [연구보고서2020-10 인권중심 코로나19 시민백서 : 시민의 삶, 우리의 권리]를 발간했습니다. 코로나19 유행 1년을 겪고 현재는 백신접종을 바로 앞둔 시점이지만, 코로나가 드러낸 사회적 불평과 차별, 공공의료와 돌봄인프라의[…]
추천 글
[PHM브리프] 공공 연구개발을 통해 개발된 코로나19 치료제와 백신, 이용할 권리는 누가 가져야 할까?
공공 연구개발을 통해 개발된 코로나19 치료제와 백신, 이용할 권리는 누가 가져야 할까? 들어가며 코로나19 백신치료제 등 의약품 개발의 핵심에는 연구개발(Research and Development, 이하 R&D)이 있음. R&D는 인류, 문화, 사회[…]
추천 글
[연구보고서 2020-11] 보건의료노동자, K-방역을 말하다: 더 나은 팬데믹 대응을 위한 제안
코로나19 유행이 시작된 지 1년이 되어가는 현재, 많은 사람이 유행의 장기화를 예상하고 있다. 팬데믹에서 모두의 안전을 지키기 위한 방역대응의 지속가능성과 보건의료체계의 회복탄력성 측면에서 보건의료 노동자의 건강과 안전은 매우 중요한[…]
추천 글
[PHI연구보고서 2020-10] 인권중심 코로나19 시민백서: 코로나19시대 시민의 삶, 우리의 권리
시민건강연구소가 지난 3월부터 진행했던 [인권중심 코로나19 시민백서:코로나19시대 시민의 삶, 우리의 권리]가 완성되었습니다. 이 보고서는 2015년 메르스 유행에 대한 우리의 평가작업(<인권중심의 위기대응: 시민, 2015 메르스 유행을 말하다>)의 연장선 위에 있습니다. 문제의식과[…]
추천 글
[카드뉴스] 코로나19 감염, 어떤 노동자들이 위험한가
지난 7월, 우리 연구소는 사회공공연구원과 함께 이슈페이퍼 [코로나19와 노동자건강권 보장]을 발간했습니다. 더 많은 분들이 이 이슈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카드뉴스를 제작했으니 주변에 널리 배포해주시기 바랍니다 (큰 사이즈의 파일이 필요하면[…]
추천 글
<가늘게 길게 애틋하게> 출간
시민건강연구소 김명희 상임연구원과 임승관 경기도의료원 안성병원 원장이 고정멤버로 참여하여 2020년 3월부터 5월까지 <시사IN> 지면에 실렸던 ‘주간 코로나19’ 시리즈가 책으로 나왔습니다. 책에는 지면에 담지 못했던 대담내용을 추가하고, 각각의 분야에서 대담 이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