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 기고문

외부 기고문

[포스트 코로나의 대안] 공공병원 확충이 의료공공성 회복의 희망이자 지표

다시, 공공병원 확충을 위한 발걸음 내디딜 때   조승연 (인천광역시의료원장, 전국지방의료원연합회장)   데자뷰(Deja vu) 1.   2003년 출범한 노무현 정부는 공공의료발전계획을 수립하였다. 4조 원이 넘는 예산으로 공공병원을 전체의 30%까지 늘리고,[…]

추천 글

외부 기고문

[고래가 그랬어: 건강한 건강수다] 5월 1일 노동절은 왜 ‘근로자의 날’일까?

<어린이 교양잡지 “고래가 그랬어” 210호 ‘건강한 건강수다’>   글: 이주연, 그림: 박 요셉   5월 1일은 노동절이야. 5월 5일 어린이날은 어린이들의 인권을 존중하기 위한 날이고, 노동절은 노동자들이 존중받으며 일하는 권리를[…]

추천 글

외부 기고문

[포스트 코로나의 대안] 코로나 이후, 공공의료 개혁의 핵심은 ‘사람’

‘사람’을 중심에 둬야만 보이는 것들   김창엽(시민건강연구소 소장)   어제(5월 5일) 정부가 대국민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는데 한 가지 결과가 유독 눈에 띄었다. 응답자 가운데 60%가 백신과 접종 정보가 부족하다고 생각한다는[…]

추천 글

외부 기고문

[노컷뉴스:인터뷰] 특허 풀면 코로나 백신 부족 문제 풀릴까?

……………….. 시민건강연구소 김선 건강정책연구센터장은 백신 특허 문제가 남의 일이 아님을 강조했다. 그는 “코로나19 백신을 생산해온 인도가 국내 상황이 악화되자 백신 수출을 중단했다”며 “전 세계 백신 공급에 차질이 발생할 수 있다”고[…]

추천 글

글로벌 헬스 와치 외부 기고문

‘백신 여권’이 주는 꿈과 희망은 누구의 것인가

김진환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코로나19 대유행이 1년하고도 4개월째 계속되고 있는 4월 29일 현재 한국 인구의 약 6%인 305만6004명이 1차 예방접종을 받았다. 빠른 속도로 예방접종이 이루어지고 있다고는 하지만, 모든 사람이 예방접종을[…]

추천 글

외부 기고문

[포스트 코로나의 대안] 코로나와 불로소득 바이러스…한국 부동산 양극화 미국·일본도 넘어섰다

팬데믹 시대의 경제적 양극화와 부동산 전강수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수   코로나19, 이미 불평등한 세상을 덮치다 코로나19로 전 세계에서 경제적 양극화가 심각해지고 있다. 팬데믹이 발발하지 않았더라도 세계는 자산소득 비중의 증가와 계층 간[…]

추천 글

외부 기고문

[포스트 코로나의 대안] MB정부터 文정부까지, 일자리 정책은 계속된 실패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일자리 양극화를 풀 해법은 ‘창출-전환-격차 해소’ 패키지의 동시 추진 김성희 산업노동정책연구소 소장   우리의 일자리 문제는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취업경쟁, 청년실업, 비정규직, 여성의 경력단절, 노년 노동, 인력 구조조정, 플랫폼노동, 노동빈곤, 불안정 노동의 확대와 불평등의 심화 등 수많은 문제가 떠오른다.[…]

추천 글

글로벌 헬스 와치 외부 기고문

아프리카 사헬 지대의 코로나19 위기와 불평등

장효범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재난은 불평등을 가속화한다. 사회적 약자가 처한 악조건은 재난에 의해 더 심해지고, 재난과 그 영향으로 인한 피해를 극복하기 힘들게 한다. 코로나19 범유행이라는 미증유의 재난은 전 세계 구석구석[…]

추천 글

외부 기고문

[포스트 코로나의 대안] 포스트 코로나 해법의 핵심 과제는 ‘불평등 해소’

증세·적자재정 모두 필요하다 나원준 (경북대 경제통상학부 교수)   한국경제는 민주화 이후 여야 간 정권 교체에도 불구하고 최근까지 수십 년간 신자유주의적인 지향과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성장과 효율의 가치가 많은 것을 결정했다. 불평등과[…]

추천 글

외부 기고문

[고래가 그랬어: 건강한 건강수다] 어른들이 알아서 잘 결정한다고?

<어린이 교양잡지 “고래가 그랬어” 209호 ‘건강한 건강수다’>   글: 오 로라, 그림: 박 요셉   코로나19가 세계를 덮은 지 어느덧 두 해째야. 우리 일상 곳곳에서 코로나에 관한 이야기가 넘쳐나. 그런데[…]

추천 글